2025.07.30 (수)

  • 구름많음동두천 31.2℃
  • 구름많음강릉 30.1℃
  • 구름많음서울 33.4℃
  • 구름조금대전 33.1℃
  • 구름조금대구 31.8℃
  • 구름조금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1.5℃
  • 맑음부산 31.8℃
  • 맑음고창 33.2℃
  • 구름많음제주 30.4℃
  • 구름많음강화 30.5℃
  • 맑음보은 30.3℃
  • 맑음금산 31.1℃
  • 맑음강진군 31.7℃
  • 구름조금경주시 32.5℃
  • 맑음거제 29.8℃
기상청 제공

포토뉴스

깨진 틈이 있어야 그 사이로 빛이 들어온다


아름다워라
찢어진 문틈으로
보는 은하수

일본의 전통 단시(短詩) 하이쿠의 대가 잇사의 시입니다.

 

 

손가락 하나에도 쉽게 찢기는 장지문의 불규칙한 구멍으로 광대무변의
은하수가 내다보입니다. 깨진 틈은 흠이 아닙니다.
깨진 틈이 있어야 그 사이로 빛이 들어옵니다.

 

 

한 도공이 있었습니다. 그는 아름다운 그릇들을 빚어 시장에 내다 팔곤
했습니다. 사람들은 매끈하고 화려한 도자기를 골랐습니다. 가장 구석에
금이 간 질그릇이 있었습니다. 한쪽은 깨져 테이프로 붙어 있었고, 빛
깔도 흐릿하고 볼품없었습니다.

“나는 왜 이렇게 태어난 걸까…아무 데도 못 쓰일 거야.”
금 간 질그릇은 그렇게 스스로를 탓하며 숨죽여 있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도공이 조용히 그 질그릇을 들어 밤길을 걸어가는 한
노인의 손에 쥐어 주었습니다. 그 안엔 조그만 촛불이 켜져 있었습니다.
금이 간 틈 사이로, 빛이 새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어둔 길을 걷던
사람들은 그 빛을 따라 넘어지지 않고 무사히 길을 찾았습니다.

 

 

질그릇은 깨달았습니다.
“나의 금 간 자리는, 빛이 흘러나오는 통로였구나.”
완전하지 않아도, 주님의 빛을 품으면 우리는 길을 밝히는 그릇이 됩니다.
 

 

“여호와께서 온갖 것을 그 쓰임에 적당하게 지으셨나니”(잠16:4a)

<강남 비전교회 / 한재욱 목사>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