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5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인천 중구 첫 다함께돌봄센터, 내년 상반기 영종국제도시에 문 연다

인천 중구 다함께돌봄센터 1·2호점 설치·운영 협약 체결

 

내년 상반기 영종국제도시 ‘운서 SK뷰 스카이시티 1차 아파트’와 ‘하늘도시 우미린 2단지 아파트’에 인천 중구의 첫 ‘다함께돌봄센터’가 문을 열 전망이다.

 

 

1-1 보도사진(중구 다함께돌봄센터 1·2호점 설치·운영 협약).jpg

                                                                  다함께돌봄센터 1·2호점 설치·운영 협약 체결

 

 

인천시 중구(구청장 김정헌)는 지난 14일 중구 제2청 구청장실에서 이들 2개 아파트 단지 입주자대표회의와 ‘다함께돌봄센터 1·2호점 설치·운영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다함께돌봄센터’는 소득수준에 상관없이 돌봄이 필요한 모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정규교육 이외의 시간(방과 후, 방학 중)을 중심으로 지역 맞춤형 공공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다.

 

지역사회 중심의 공공 아동 돌봄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양육 부담을 완화하고 돌봄 공백을 해소하는 게 목적이다. 이곳에서는 간식 지원, 숙제 지도, 체험 활동 등 지역 여건·수요를 고려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성·운영하게 된다.

 

협약에 따라 운서 SK뷰 스카이시티 1차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와 하늘도시 우미린 2단지 입주자대표회의 측은 주민공동시설 일부(각 81.6639㎡, 74.037㎡)를 각각 중구 다함께돌봄센터 1호점과 2호점을 위한 공간으로 무상으로 제공한다.

 

협약 기간은 오는 2024년 5월부터 2029년 4월까지 5년이다. 구는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돌봄센터 리모델링 공사, 위탁 기관 선정 등의 절차를 마친 후, 내년 상반기 중 1호점과 2호점을 순차적으로 개소할 예정이다.

 

구는 ‘구민이 행복한 교육·복지 도시’를 민선 8기 5대 구정 목표로 설정한 만큼, 이번 ‘다함께돌봄센터’가 더욱 촘촘한 지역 돌봄 지원망을 구축하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정헌 중구청장은 “다함께돌봄센터 설치에 적극적으로 협조해 준 아파트 입주자들에게 감사하다”라며 “영종 지역의 늘어나는 아동 돌봄서비스 수요에 따라 다함께돌봄센터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광주시의회, 제319회 임시회 폐회…1조 9천억 추경·36건 안건 처리, 교통·복지·교육 등 민생 현안 해결 촉구
[아시아통신] 광주시의회는 지난 15일 제319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를 끝으로 7일간의 회기 일정을 마무리했다. 이번 임시회에서는 총 1조 9,261억 원 규모의 2025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을 비롯해 제2차 기금운용계획 변경안, 각종 조례안 및 동의안 등 36건의 안건을 심의·의결하며 시정 현안 해결을 위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됐다. 이번 회기에서 가결된 주요 조례로는 아동 통합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드림스타트 운영 조례안', 안전한 숲길 조성과 관리 근거를 마련한 '숲길 지정 및 관리 조례안', 빗물받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해 침수피해를 예방하는 '빗물받이 관리 조례안', 소상공인 지원 범위를 확대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소상공인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등이 있다. 이를 통해 복지, 안전, 지역경제 등 시민 생활과 직결된 제도적 기반이 한층 강화됐다. 본회의에서는 교통·복지·안전 등 민생 현안이 시정질문을 통해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어르신 대중교통비 지원 제도의 조속한 도입과 고령 사회에 맞춘 교통 복지 확대가 시급하다는 점이 강조됐으며, 도로개설 사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장물 관리 체계 확립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