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8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뉴스

그가 일찍 죽은 기막힌 이유

 

 

 

“문종文宗(1414-1452)은 조선 왕 중에서도 늘 애틋함이 남아 있는 왕이

다.  29년의 세자 생활을 하는 동안 부왕 세종을 잘 보필했고. 1450년

조선 왕 가운데 최초로 적장자 출신으로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문종은

연이은 국상의 후유증으로 즉위한 지 2년 3개월 만에 세상을 떠났다.”


신병주 저(著) 《56개 공간으로 읽는 조선사》 (위즈덤하우스, 56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문종은 29년간 세자로 있으면서 건강이 점점 악화되었던 세종을 보좌

하며 많은 성과들을 이루었습니다. 세종을 도와 훈민정음 창제 사업에

힘썼고, 4군 6진 개척 때에는 직접 화차를 발명했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측우기의 발명 또한 문종의 업적임이 밝혀졌습니다. 문종은 무엇보다도

효심이 지극하였습니다. 그런데 그것이 문제(?)였습니다.  

 

 

“문종 승하의 가장 결정적인 이유는 아이러니하게도 그의 지극한 효심

이었다(중략). 지극한 효심이 문종의 건강을 해친 것은 어머니 소헌왕

후가 승하한 1446년(세종 28)부터였다. 문종은 어머니의 삼년상에 온 정

성을 다했다. 그 후 잠시 건강을 챙기며 국정을 운영했던 문종은 1450년

(세종 32) 2월, 아버지 세종의 승하를 맞았다. 이번에도 문종은 삼년

상에 모든 정성을 다했고, 이것이 건강 악화로 이어졌다.”(60쪽)

 

 

문종은 어려서부터 병치레를 많이 한 약골(弱骨)이었습니다. 그런 그가

연이은 부모의 상(喪)을 치르느라 죽을 지경에 이르렀다면, 이것을 어

떻게 해석해야 합니까?

성경이 말하는 효도는 다릅니다. 살아계신 부모님을 마치 하나님을 공

경하듯 공경하라고 합니다. 그리고 소천하신 부모님은 부활하여 천국

에서 다시 만난다는 믿음 안에서 살라고 합니다.

성경이 말하는 효도가 더욱 선하고 창조적입니다.  


 

“너는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명령한 대로 네 부모를 공경하라. 그리

하면 네 하나님 여호와가 네게 준 땅에서 네 생명이 길고 복을 누리

리라.” (신5:16) <경건 메일>

 

 

 

 

배너
배너

안호영 위원장, ‘먹사니즘’ 회원들과 풍남문시장, 남부시장 장보기·간담회 진행
[아시아통신] 더불어민주당 안호영 국회의원(완주·진안·무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장)은 4일, 재명 대통령의 민생철학을 실천하는 시민조직 ‘먹사니즘 전국네트워크’ 자문위원장 자격으로 전주시 풍남문시장과 남부시장 일대를 찾아 추석맞이 장보기와 상인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번 행사는 “잘 사는 국민, 함께 사는 사회”라는 먹사니즘의 가치를 현장에서 실천하고 지역경제의 선순환을 복원하기 위한 민생 현장행보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안 위원장은 먹사니즘 청년위원회 활동가, 박성수 먹사니즘 고문, 황영호 풍남문상인회 회장 등과 함께 전통시장 활성화, 관광벨트 조성, 청년상인 창업, 교통·환경 개선 과제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지역화폐로 직접 장을 보며 상인들과 민생경제의 현실을 공유했다. 박성수 먹사니즘 고문은 “이재명 대통령이 강조한 먹사니즘의 핵심은 지역에서 돈이 돌고, 국민의 삶이 나아지는 민생경제의 선순환”이라며 “안호영 자문위원장이 현장에서 그 가치를 함께 실천해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안호영 위원장은 “전통시장은 지역경제의 뿌리이자 민생의 현장”이라며 “기후·에너지·유통 정책을 현장 중심으로 연결해 도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