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5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뉴스

지역산업육성으로 충북산업 경쟁력 키운다

중앙부처 연계 광역산업, 시군 자체 경쟁력강화산업 투트랙 추진, 총 5개 사업에 392억 투입

 

 

 아시아통신 박미영 기자 | 충북도는 충북산업의 경쟁력확보를 위해 중앙부처 연계 광역사업과 시군 경쟁력강화산업 등 두 가지 방향으로 도내 지역산업 육성에 나선다고 밝혔다.

 

 

중앙부처 연계 광역사업은 충북의 핵심 주력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의 K-반도체 전략, K-배터리 전략 등에 부합하는 미래 신산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을 통해 3대 주력산업(지능형IT부품, 바이오헬스, 수송기계소재부품)을 중점 육성하고,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광역단위 경쟁력 확보를 위한 스마트특성화 기반구축사업,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육성사업을 통해 인프라 구축 및 사업화를 추진한다.

 

 

먼저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은 도내 산업 경쟁력 강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중소벤처기업부와 3대 주력산업을 중점 육성하는 사업으로, 도내 중소기업의 연구개발(R·D) 및 마케팅·시제품 제작·특허 및 인증 등 사업화(비R·D)을 제공하며, 올해에는 연구개발 49개 과제, 사업화 지원 12개과제를 지원할 계획이다.

 

 

둘째로, 국가혁신융복합단지내 지능형첨단부품산업 육성을 통해 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한다.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육성사업’은 지역별 혁신도시나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융복합단지를 지정하고, 단지내 기업대상으로 기술개발, 기업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능형첨단부품산업 분야 입주기업 및 연관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 기업지원, 글로벌 연계, 네트워크 고도화를 지원하며, 올해는 연구개발 6개과제, 사업화 지원 3개 과제를 지원할 계획이다.

 

 

셋째로, 스마트특성화 기반구축사업을 통해 지역의 장비구축 및 고도화 지원을 통해 지역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비수도권 시·도를 대상으로 지역이 보유한 자원과 역량을 활용해 지역산업 고도화와 다각화 및 전환을 추진함으로써 지역에 최적화된 혁신성장 기반을 구축하는 공모사업이다.

 

 

이 사업을 통해 충북도는 국비 150억원을 확보했으며, 모빌리티 전장부품 기능안전 기반구축사업, 천연물기반 의료기기 인증지원 플랫폼 고도화사업을 추진해 지역의 산업 인프라를 확충할 계획이다.

 

 

도는 지난해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을 통해 연구개발 60개 과제, 사업화 지원 156개사,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육성으로 연구개발 6개과제, 사업화 지원 95건, 스마트특성화 기반구축사업은 2개 공모사업 선정됐다.

 

 

이와 함께 시군 자체 산업의 자생적 경쟁력을 확보 할 수 있도록 시군 경쟁력강화산업 육성사업을 추진한다.

 

 

‘시군 경쟁력강화산업 육성사업’은 2021년부터 시군의 균형 있는 발전과 전략적 육성을 위해 시군 단위 산업생태계를 기반으로 지역의 경제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미래유망 선도 신산업을 선정해 중점 육성하는 사업이다.

 

 

올해에도 시군별 유망신산업 과제를 발굴·육성하여 시군 간 산업격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R·D), 비 연구개발(R·D) 22개과제 및 시군 산업거점 육성기반 확충을 위한 산업거점 고도화 패키지 지원사업도 2개소를 추진할 계획이다.

 

 

도는 지난해 시군경쟁력강화산업 육성사업으로 22개과제·시군산업거점 고도화 패키지 2개소를 지원하는 등 기업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다.

 

 

충북도 이용일 산업육성과장은 “지역산업 육성을 통하여 지역 간 산업 격차 해소 및 충북의 경쟁력이 국가경쟁력의 중심축으로 거듭나 코로나19로 침체된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게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이명박․오세훈 전현직 서울시장이 말하는 '서울의 미래'… 청계천 복원 20주년 특별대담
[아시아통신] 청계천의 ‘하드웨어’를 구축한 이명박 前 서울시장(前 대통령)과 이를 ‘소프트웨어’로 확장해 온 오세훈 現 서울시장이 청계천 복원 20주년을 맞아 한자리에 모였다. 서울시는 지난달 28일(일) 청계재단에서 진행한 ‘청계천복원 20주년기념 특별대담’ 영상을 4일(토) 공개했다. 이날 대담은 청계천의 과거와 현재, 미래 가치부터 서울의 경제 활성화와 직결되는 도시 브랜딩 전략, 두 전현직 시장이 그리는 서울의 미래 등을 주제로 약 40분간 이어졌다. <청계천 복원은 서울 변화의 시작점, 청계천‧DDP‧한강 등 소프트웨어로 도시 브랜딩 제고> 대담은 조수빈 아나운서의 사회로 진행됐다. 이 前대통령은 시장 재임당시 60~70년대 개발 프레임과 쓰레기, 악취 등으로 복개공사를 진행했던 청계천의 자연과 환경을 시민들에게 되돌려줘야겠다는 생각으로 복원 결단을 내렸다고 계기를 설명했다. 또 이 과정에서 발생한 정부와 시민들의 반대를 설득과 대안 제시로 해결한 일화도 소개했다. 청계천 복원 완료 다음 해인 2006년 서울시장에 취임한 오 시장은 “전 세계 도시 관계자들이 서울을 찾을 때 꼭 방문하는 곳이 이 前 대통령이 시장시절 만든 청계천과 서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