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fty years ago today, the 26th Session of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UNGA) adopted Resolution 2758 with an overwhelming majority and decided to restore the lawful sea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PRC) in the world body. In the conference hall at the UN Headquarters located in New York City, thunderous applause and cheers echoed from all sides of the hall. Former Permanent Representative of Tanzania to the United States Salim Ahmed Salim,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campaign for this cause, congratulated China with cheers and applause on the spot, which left an unforgettable
ADDIS ABABA, Oct. 25 (Xinhua) -- The restoration of China's lawful seat in the United Nations in 1971 was a milestone moment that injected momentum in propelling global development, said Teruneh Zenna, Ethiopia's former ambassador to the United Nations. China, as a responsible major country, "has played an active role in the UN peacekeeping operations and influenced the organization to adhere to its guiding principles," Zenna told Xinhua recently. Sharing his memory about China's restoration of its lawful seat in the United Nations, Zenna said there was unparalleled jubilation during that hist
BEIJING, Oct. 25 (Xinhua) -- "Both climate change and COVID-19 have shown us that we, as a species, as humanity, we can survive only through multilateralism." This emphatic and shrewd observation was made by Abdulla Shahid, president of the 76th session of the UN General Assembly (UNGA), in an exclusive interview with Xinhua in the lead-up to the 50th anniversary of the restoration of China's lawful seat in the United Nations, which falls on Monday. Indeed, those pressing planetary challenges, along with ongoing profound global changes unseen in a century, have led humanity to yet another cruc
아시아통신 송신화 기자 | Source: Xinhua| 2021-10-13 16:28:25|Editor: huaxia (중국 창사=신화통신) 저우몐 천쓰한/송신화 기자 = 후난(湖南)성 이양(益陽)시 허산(赫山)구의 한 찻잎 시장에 '융러(永樂)흑차박물관'이라는 간판이 눈에 띈다. 이양시에서 규모가 가장 큰 사립 흑차박물관의 주인은 놀랍게도 중국인이 아닌 한국 대구 출신 예호준씨다. 예호준(1962년생)씨는 어렸을 때부터 중국 문화에 관심이 많았다. 학업과 일 때문에 베이징에서 수년간 지내면서 2006년 '흑차의 본고장'이라고 불리는 이양시에 조사를 나갔던 그는 2009년 '융러흑차박물관'을 세우기에 이르렀다. 지난 10여 년 동안 그는 '차마고도(茶馬古道)'를 따라 흑차의 주요 생산지와 판매지를 찾아다니며 박물관에 전시할 수많은 흑차를 수집했다. 흑차는 중국의 6대 전통차(茶) 중 하나로 유구한 역사를 자랑한다. 예씨가 수집한 흑차 중엔 1949년 신중국 건국 이후 거의 매년 생산되고 있는 흑차 제품뿐 아니라 흑차에 일가견 있는 그가 직접 디자인한 굿즈도 있다. 그의 박물관은 매일 무료로 대중에 개방하고 있다. 시간 날 때마다 직접 관람객에게 소장품에 대한
아시아통신 신화 기자 | 중국 랴오닝(遼寧)성 선양(瀋陽)에서 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한국인 홍인주(57세)씨는 요즘 손님맞이에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앞치마를 두른 그는 능숙하게 오징어를 자르며 조금은 어설픈 중국어로 손님들과 대화를 나눴다. 홍씨는 "평소에 오후 3시쯤 되면 빈자리가 나기 마련인데 현재 중국 국경절 연휴라 손님이 끊이지 않는다"고 말하며 이마에 흐르는 땀을 닦았다. 체력적으로는 힘들어 보였지만 그의 얼굴에는 미소가 번졌다. 홍인주씨가 4일 그의 식당에서 오징어를 자르고 있다. (사진/장자오천 기자) 홍씨는 올해 중국에서 17번째 국경절 연휴를 보낸다. 그는 지난 2004년 아내와 다섯 살 난 딸과 함께 서울에서 선양으로 건너와 식당을 차렸다. 선양은 이제 그에게 익숙한 도시가 됐다. 이곳에서 그는 '홍 아저씨'라 불린다. 그는 20년 가까이 중국에 살면서 '한국의 맛'을 중국에 알려 왔고 또 중국의 미식에 매료되기도 했다. "비가 오면 한국에서는 전과 막걸리를 먹지만 저와 아내는 근처 중국식당에 가 마라탕을 먹습니다." 홍씨의 말이다.창업 초기 홍씨의 가게를 찾는 사람은 주로 선양으로 여행 온 한국 관광객들이었다. 그러나 2013년 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