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6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서울시의회 김인호 의장, 미국 호놀룰루시의회 토미 워터스 의장과 화상회의 개최

 

 

- 코로나19 가운데 상호결연도시와의 비대면 교류 통해 지속가능한 소통 모색 - ‘코로나19와 백신접종 현황’, ‘코로나19로 인한 아시아인 대상 증오범죄’, ‘양 도시 간 관광 및 비즈니스 활성화’ 등 3가지 주제로 논의 서울특별시의회 김인호 의장은 6월 25일(금) 오전 10시 상호결연도시인 미국 호놀룰루시의회 토미 워터스 의장과 화상회의를 가졌다. 이번 화상회의는 코로나19로 국제교류가 위축된 상황 속에 비대면 교류를 통해 소통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김인호 의장의 제안으로 성사되었다. 서울시와 호놀룰루시는 1973년 상호결연협약을 체결했으며, 양 도시 의회 간에도 2013년 우호협력을 위한 의향서를 체결해 교류해왔다. 제10대 서울시의회도 2019년 호놀롤루시의회와 상호방문하며 교류한 바 있다. <서울시의회 김인호 의장, 미국 호놀룰루시의회 토미 워터스 의장과 화상회의 개최 모습> 서울시의회 측에서는 김인호 의장 외에 황규복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 김경우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이 자리를 함께 했으며, ‘코로나19와 백신접종 현황’, ‘코로나19로 인한 아시아인 증오범죄 현황과 대응’, ‘서울-호놀룰루 간 교류 활성화’ 등 3가지 주제를 놓고 논의했다. 김인호 의장은 “한국 정부는 국가 봉쇄 없이 민주적인 통제 방식을 기반으로 하되, 확진자 동선과 접촉자 파악에 있어 정보통신기술을 적극 활용하며 성공적인 K-방역을 이뤄냈다.”며 “무엇보다 시민의 적극적인 방역 협조 덕분에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시의회 김인호 의장, 미국 호놀룰루시의회 토미 워터스 의장과 화상회의 개최 모습> 김 의장은 “하와이 내에서도 코로나19로 인한 아시아인 대상의 증오범죄 현황과 대응책이 궁금하다.”며 호놀룰루시의회 설명을 요청하는 한편 “앞으로도 한국과 하와이의 가교 역할을 하는 우리 교민들이 안전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호놀룰루시의회는 코로나19로 관광산업에 크게 타격을 받은 호놀룰루시의 한국 관광객 유치와 한국기업과의 비즈니스 기회 활성화에 관심을 두고 논의를 이어갔다. <서울시의회 김인호 의장, 미국 호놀룰루시의회 토미 워터스 의장과 화상회의 개최 모습> 김인호 의장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 속에서도 디지털 기술을 통한 비대면 교류가 가능한 것에 감사를 표하며, 코로나19 종식 후에는 상호 초청·방문하며 교류를 이어나갈 것을 제안했다.
배너
배너


서울시의회, ‘황철규 카드’로 지방재정 위기설에 선제적 대응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는 2026년도 서울시 및 서울시교육청 예산안을 심사할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황철규 의원(성동4, 국민의 힘)을 선출했다. 총 33명의 예결위원과 함께 연간 70조원의 방대한 재정을 심사⋅의결할 황철규 예결위원장은 예산에 대한 전문성과 현장경험을 겸비한 인물로 주목받고 있다. 2025년 9월 현재 서울시가 57조 9,000억원의 예산을 운용하고, 서울시교육청도 13조 3,000억원의 예산을 편성하여 운용하여 서울특별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연간 약 70조원의 예산을 심사하게 되나, 최근 경기 둔화와 부동산 거래 위축 등으로 세입 여건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이처럼 녹록지 않은 재정 환경에서 황철규 예결위원장의 선출은 세 가지 측면에서 당위성을 갖을 수 있다. 첫째, 그는 예산 심사 실무에서 강한 존재감을 보여온 전문가다. 황철규 예결위원장은 지난 2023년도 예산심사 과정에서 서울시교육청의 반복적인 예산 증액과 불명확한 집행 구조를 지적하여 실질적인 예산절감 성과를 이끌어 낸 바 있다. 특히 ‘서울온라인학교’ 리모델링 예산 및 ‘뉴쌤’ 교육플랫폼의 과도한 예산 책정을 문제 삼아 정책의 실효성과 재정의 투명성을 함께 제기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