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통신] 창녕군은 ‘1회용품 없는 도시’를 목표로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자원순환 사회로서의 전환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군은 올해 3개 분야(▲공공기관 1회용품 줄이기 ▲1회용품 저감 시책 추진 ▲재활용 교육·캠페인)에 대한 맞춤형 전략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
군은'창녕군 1회용품 사용 줄이기 조례'에 따라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청사 내 다회용 컵 보급, 텀블러 자동세척기 설치, 상·하반기 실태조사 등 실제 감축 활동을 추진했다.
요식업계 역시 민관 협력체계를 통해 1회용품 줄이기에 동참하고 있다. 군은 한국외식업중앙회 창녕군지부 등과 협력해 1회용품 저감을 실천하고, ‘1회용품 사용 줄이기 환경우수업소’를 선정하고 있으며, 향후 모범음식점 지정 시 평가 지표에 반영할 계획이다.
축제 현장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지난 10월 개최된 ‘우포따오기와 함께하는 비사벌문화제’에서는 다회용기 4만여 개를 사용해 친환경축제로 운영했으며, 내년에는 국비를 확보해 낙동강유채축제 등 주요 축제에도 다회용기 사용을 확대한다.
자원재활용 확대에도 성과가 있다. 군은 투명페트병 수거자판기 5대를 운영하고, 폐현수막을 활용한 재활용 마대 11,000매 제작, 아이스팩 4,000장 재사용 등으로 재활용률을 높였다. 또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설치 보조금을 지원해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을 유도했다.
군민 참여 확산을 위한 교육·홍보도 강화하고 있다. 생활폐기물 처리장 견학, 청소년환경박람회, 공공청사 1회용 컵 사용금지 합동 캠페인, 탄소중립 실천 프로그램 등을 확대 운영 중이다.
성낙인 군수는 “1회용품을 줄이는 작은 실천이 자원순환 도시로 가는 중요한 변화의 시작”이라며 “군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창녕군은 2025년 한 해 동안 다양한 자원순환 정책을 통해 성과를 거뒀으며, 2026년에도 친환경 도시로의 전환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