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통신] 광주광역시 서구는 13일 서구청 들불홀에서 ‘서구형 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사업 성과공유회’를 열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무장애 착한도시 실현 의지를 다졌다.
서구는 민선 8기 출범 이후 장애인 복지의 핵심 과제로 ‘무장애 도시 조성’과 ‘장애 특성별 맞춤형 일자리 창출’ 등을 제시하고 ▲중증장애인 자립형 일자리 ▲정리수납 일자리사업 ▲장애인-노인 연계형 반찬지원 일자리사업 등을 통해 장애인 49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했다.
특히 서구는 광주 자치구 중 유일하게 자체 예산을 투입해 공공일자리사업을 운영하며 ‘일자리가 최고의 복지’라는 가치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서구가 전국 최초로 시행한 ‘수어 기반 권리증진사업’은 장애인이 직접 구정 정보를 수어 영상으로 제작하고 공직자 대상 민원응대 수어 교육을 실시해 행정의 포용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날 행사에는 사업 참여 장애인 근로자를 비롯해 전담인력, 수행기관 관계자 등 60여 명이 참석했으며 영상·발표 등을 통한 사업 성과 공유와 함께 유공자 표창, 수어·젬베·마술 공연 등이 진행됐다. 특히 장애인이 사회와 공연에 직접 참여하며 행사의 의미를 한층 더했다.
행사에 참여한 장애인 근로자들은 “단순한 일자리를 넘어 내 역할이 필요하다는 느낌을 받았다”며 “일을 통해 자존감도 높아지고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어 감사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김이강 서구청장은 “서로 다른 사람들이 함께 어울리는 사회가 진정한 포용도시의 출발점”이라며 “배려와 나눔이 일상이 되는 무장애 착한도시 실현을 위해 ‘함께 서구’의 가치를 구정 전반에 담아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장애 특성에 맞춘 공공일자리 사업을 지속 확대하고 모든 시민이 불편 없이 어울려 살아가는 무장애 도시를 실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