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통신]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인천에 데이터센터를 지으려는 전력 사용 신청이 쇄도했지만, 인천의 전력망이 이미 꽉 차 이들 신청이 100% ‘퇴짜’를 맞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한국전력이 “인천 전력망은 더 이상 여유가 없다”고 공식 확인한 것으로, 이 ‘전력 대란’이 정작 필요한 산업‧복지시설 건립을 가로막고, 인천의 핵심 미래 산업인 바이오‧반도체 기업 유치까지 막아설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국회 산자중기위, 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이 한국전력공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6월 ‘전력계통영향평가’ 제도가 시행된 이후 인천에 접수된 24건의 대규모 전력 사용 신청이 모두 ‘공급 불가’ 판정을 받았다.'표1 참조'
한전은 ‘전력계통의 공급능력 부족으로 인한 전력계통 신뢰도 유지 곤란’을 이유로 들었다. 이번에 거부된 24개 사업이 신청한 전력량(1,156MW)은 신형 원전 1기(1,400MW)에 육박하는 막대한 규모다.
신청 사업 대부분(19건, 80%)은 데이터센터였다. 지역 산업 발전에 필요한 지식산업센터(2건)나 주민 복지에 꼭 필요한 노인복지주택까지 전기를 공급받지 못하는 ‘불똥’을 맞게 됐다.'표2 참조'
‘전력계통영향평가’는 대규모 시설(10MW 이상)이 전력망에 부담을 주는지 사전에 심사하는 ‘전력망 게이트키퍼’ 제도로, 작년 6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도입됐다. 이번 24건 전원 ‘불가’ 판정은 인천 전력망이 포화상태에 이르렀음을 정부가 공식 인정한 첫 사례다.
‘전기 먹는 하마’로 불리는 데이터센터는 막대한 전기를 쓰면서도 고용 효과는 적어 ‘속 빈 강정’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2025년 6월 기준, 인천에는 총 9개의 데이터센터가 전력 공급을 완료했으며, 총 계약전력은 249MW로 집계됐다. 이 중 2024년 송전을 시작한 단 1개 시설이 180MW의 계약전력을 차지해, 인천 전력망 포화의 방아쇠를 당겼다는 지적이다. 이번에 반려된 연수구의 한 데이터센터도 건물 하나에 130MW의 엄청난 전력을 신청하기도 했다.'표3, 4 참조'
더 큰 문제는 인천의 진짜 미래 먹거리인 바이오‧반도체 기업 유치다. 송도와 영종의 바이오 단지 등은 막대한 전기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전력망 100% 공급 불가’ 사태로 인해 정작 ‘알짜 기업’들이 전력난을 걱정해 인천 투자를 포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전력 수요 편중 현상도 심각했다. 24건 중 절반인 12건이 서구에, 6건(25%)이 남동구에 집중됐다. 대규모 변전소 증설이 필요한 154kV급 신청 10건 중 8건(서구 5건, 남동구 3건)이 이 두 지역에 몰려, 전력망 과부하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허종식 의원은 “이번 한전의 100% ‘불가’ 통보는 인천의 전력망이 포화상태임을 공식화한 것으로 인천시는 미래 먹거리인 바이오·반도체 같은 알짜 기업 유치를 위한 전력망 확보 계획부터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허 의원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전은 인천의 전력난 해소를 위한 특단의 전력망 확충 계획을 마련하고, 장기적으로 수도권 전력 수요 분산을 위한 근본적인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