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KDI)은 9일, '통화공급증가의 파급효과와 코로나 19 경제 위기'란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서는 통화 증발과 그것이 산업, 사회, 가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을 소상히 적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정부가 확장적 통화와 재정정책, 금융 안정정책 등을 시행하면서 통화량이 급증했다. 올해 통화량은 한국은행이 코로나 19 확산 이후 두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내렸고, 정부도 4차례에 걸쳐추경을 편성하는 등 통화공급량을 늘리는 정책을 펼쳐 왔다. 무려 82조원 규모에 이르는 민생 금융안정 패케지 프로그램 등 적극적인 통화* 재정 정책으로 말미암아 통화량은 전년 동기 대비 1분기 8,1%. 2분기 9,7% 늘었고 , 3분기에도 8월 기준 9,5%나 증가했다. 일반적으로 통화공급이 늘면 시장에 돈이 돌고, 이에 맞춰 수요도 늘어나게 된다. 경제 활동이 활발해 진다는 뜻이다. KDI는 자체 분석한 실증 분석 결과 통화량이 1,0% 늘면 ,국내총생산(GDP) 디프레이터가 8분기(2년 )에 걸쳐 0,5%, 주택가격은 이 보다 훨씬 높은 4분기 0,9% 상승한다고 분석했다. 물론 생산도 제조업을 중심으로 증대 효과가 나타난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 늘어난 수요만큼 공급이 따라주기 쉽지 않은 시장에서는 그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진단이다. KDI는 그 대표적 시장을 서비스업과 부동상 시장으로 꼽았다. 통화량 팽창이 결국 부동산 파장을 몰고 왔을 수 있다는 것이다. KDI는 이런 관점에서, 이제는 통화 조절을 검토해야할 시점이라고 지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