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을 잡겠다고 금융당국과 5대 은행을 중심으로 '대출 규제 폭탄'을 준비 중인 가운데 지난 한달동안 가계대출 증가세가 한풀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은행의 지난 달 29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656조 1101억원으로 전월 말 대비 6조 2192억원 늘었지만 증가폭으로 보면, 9월의 6조 5757억원보다 5,4% 낮아졌다. 사상 최대를 기록했던 지난 8월의 8조 498억원에 비해서는 무려 26%가 감소했다. 주택담보대출은 부동산 거래 급감으로 신규 신청이 현저히 줄었다. 지난 달 1~29일 현재 5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은 3조 682언원으로 지난 8월의 4조1606억원, 9월의 4조 4419억원이 비해 증가액이 25~30%가량 감소했다. 한편, 신용대출 증가액은 2조 3401억원으로 '영끌(영혼까지 끌어들인다라는 비속어)대출' 열풍이 휘몰아친 8월의 4조705억원 과 대비 42,5% 격감 했다. 지난달 금융감독원과 5대 은행 들은 2~3차례의 비상대책회의를 갖고 대출 폭증에 개한 다각적인 규제 대책을 논의한 바 있다. 그 가운데 가장 폭발적인 주제 방안의 하나가 총부채웡리금상환비율(DSR)이다. 모든 가계대출의 연간 원리금상환액을 연속과 연동하여 크게 끌어 올리겠다는 게 금융권의 '카드'였다. 주목되는 부분은 현재의 대출 양상이 다소 진정 기미를 보이고 있는 상황과 정부가 보고 있는 현 상황의 분석이 어떻게 현실로 나타날 지에 대한 의지 파악에 시선이 모아지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금융당국은 "아직 부처 간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만큼, 좀 더 시장 상황을 지켜보면서 판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