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통신] 고용노동부는 대화와 협력을 통해 상생의 노사문화를 모범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기업 40개사를 '2025년도 노사문화 우수기업'으로 선정했다.
올해는 전국에서 140개 기업이 신청하여 지역별 서면심사 및 사례발표 등을 거쳐 모범적인 기업 총 40개사(중소기업 19개사, 대기업 13개사, 공공기관 8개사)가 최종 선정됐다.
선정된 기업들은 불확실한 대외 환경과 어려운 경영 여건에도 노사 간 두터운 신뢰와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위기를 극복했고, 이후 다양한 복지사업과 근무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가며 사회적 책임도 실천해 왔다.
주식회사 엠스텍(중소기업, 소프트웨어 개발)은 2021년 주요 고객사인 LG전자의 스마트폰 사업 철수로 큰 위기에 직면했지만, 노사가 힘을 모아 신사업을 발굴하고 직무 재배치를 통해 재도약의 기회를 만들었다. 당시 동종업계가 구조조정으로 고용 불안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임에도 노사가 머리를 맞대어 고용을 유지한 점에서 위기를 기회로 만든 우수 사례로 평가됐다.
위기에서 벗어난 회사는 성과를 직원들에게 보상하기 위해 성과급 지급기준을 명확히 하여 매년 회사 이익의 60%를 전 임직원에게 차별 없이 배분하고, 대표이사(CEO)의 경영메시지 공유·게시, 노사대표 간 핫라인(Hot-Line) 운영 등 다양한 소통 채널을 운영하여 노사 간 신뢰를 더 굳건히 다졌다.
정우금속공업 주식회사(중소기업, 배관부속제조)는 ’21년 118일간의 장기 파업을 겪은 이후 최고 경영진이 직접 교섭에 참석하는 등 열린 경영을 통한 참여적 노사관계를 구축하여 갈등을 극복한 사례로 꼽힌다.
노조는 근로시간면제 잔여 시간을 자발적으로 반납하고, 임단협 교섭 차수를 단축하는 등 효율적 교섭문화 정착에 동참했고, 노사 및 노사협의회 위원의 소통 창구를 통합(공통 단체대화방 운영)하여 투명하게 정보를 공유했다.
코비코㈜(중소기업, 차량부품제조)는 1997년 외환위기로 부도가 난 회사를 전 직원이 퇴직금을 출자해 만든 기업(종업원 지주사)으로서 25년간 회사와 일자리를 지켜내 오면서 노사 상생의 가치를 실천해 온 점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노사는 2023년 통상수당 기본급화를 통해 9.8% 임금인상 이후, 이듬해 임금협상 시 인건비 부담에 대해 서로 공감하여 임금 동결에 합의했고, 매년 특성화고 졸업자 채용, 정년퇴직자 재고용 등 고용안정 실현에 앞장서면서, 협력사에도 매 반기 성과 공유금 지급, 도급비 현금 결제 등 원·하청 동반성장을 위해 노력했다.
공공부문에서는 19년간 무분규를 유지하고 있는 대구교통공사(도시철도운영)의 노사파트너십 사례가 돋보였다. 필수유지업무 사업장으로서는 최초로 2024년 ‘복수노조 솔루션’ 협약을 체결하여 노사 및 노노 간의 신뢰 구축을 통해 조정절차를 거치지 않고 노사 자율에 기반하여 임단협 타결을 이끈 계기를 만들었다.
직원 자율 참여를 통한 참사랑 봉사단 및 DTRO장학회 운영, 관용 차량 교통약자 무료 대여 등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 이행에도 앞장섰다.
이번에 선정된 우수기업에 대해서는 앞으로 3년간 정기 근로감독 면제, 세무조사 유예(모범 납세자에 한함), 대출금리 우대 등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아울러 2023년부터 올해까지 노사문화 우수기업으로 선정된 기업은 '노사문화대상(大賞)' 신청 자격이 부여되고, 대상 기업에 대해서는 연말 시상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