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0 (월)

  • 맑음동두천 4.4℃
  • 맑음강릉 9.6℃
  • 맑음서울 6.0℃
  • 맑음대전 7.1℃
  • 맑음대구 9.7℃
  • 맑음울산 9.9℃
  • 맑음광주 9.1℃
  • 맑음부산 11.1℃
  • 맑음고창 9.2℃
  • 구름조금제주 14.5℃
  • 맑음강화 7.1℃
  • 맑음보은 5.2℃
  • 맑음금산 5.3℃
  • 맑음강진군 11.0℃
  • 맑음경주시 9.8℃
  • 맑음거제 11.3℃
기상청 제공

여행/레저

행정안전부, '제8회 전자정부의 날' 기념행사 개최, AI시대 공공AX 본격화 논의

6월 25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제8회 전자정부의 날’ 기념행사 개최

 

[아시아통신] 행정안전부는 6월 25일, 인공지능(AI) 시대 공공 AX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제8회 전자정부의 날’ 기념행사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개최했다.

 

올해 행사는 ‘2025년 제1회 지능정보화책임관(CIO) 협의회’를 겸해, 1부 ‘전자정부의 날 기념식’과 2부 ‘산·학·연 전문가의 공공 AX 토론회’로 진행됐다.

 

이번 행사에는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으로 임명된 하정우 수석이 참석해 인공지능(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공공부문 AI 대전환(AX)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하 수석은 축사에서 “현재 미국, 영국, 중국 등 AI 선도국들은 공공 AX를 통해 AI 산업 성장을 견인하고 있어, 공공 AX는 국가 AX의 중요한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고 하면서, “한국의 공공 AX 또한 관련 산업 육성에 기여하고, AI에 기반하여 행정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꿀 뿐 아니라 AI 3대 강국 실현을 위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인공지능 책임관(CAIO)이 중심이 되어 국민이 요청하기 전에 필요한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공무원의 일하는 방식을 전면 개선하는 등 AI혁신정부 구현을 주도해 달라”고 당부했다.

 

1부 기념식에서는 지능정보화책임관·공무원·기업·국민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인공지능(AI)·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공공 AX 방향을 논의하는 세미나를 진행했다.

 

발제를 맡은 문명재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 공동위원장은 “공공 AX는 인공지능(AI) 기술 도입과 함께, ‘AI by Design’을 통해 행정 프로세스와 공공서비스를 전면 재설계해야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2부 공공 AX 토론회에서는 한국디지털정부학회 송석현 회장이 좌장을 맡아, 공공부문 인공지능 서비스 미래 방향을 주제로 해외 공공 AX 사례를 분석하고 논의했다.

 

한편, 행사장에는 한국디지털정부협회와 협업해 공공부문 정보화 담당자를 위한 인공지능(AI)·디지털기술 서비스 특별 전시장도 마련했다.

 

전시에 참가한 네이버클라우드는 한국어 특화 LLM모델인 하이퍼클로바X를 한국은행 업무에 적용한 사례를, LG CNS는 자체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업무지능형 플랫폼을 소개했다.

 

또한, 국산 기술로 자체 개발한 GPU서버, 인공지능(AI)이 119 신고를 분석해 신속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거나, 행정서비스 신청 홈페이지의 접속량을 분석해 과부하를 방지하는 혁신 서비스도 참석자에게 선보였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정부 AI 대전환이 이뤄지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토대가 될 수 있다”라며, “세계가 인정한 디지털정부의 경험을 바탕으로, 국민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AI 정부를 구현하기 위해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서울역사박물관, 박물관 협력의 새 장 연다 김경 서울시의원, "청소년·시민이 함께하는 문화 플랫폼으로"
[아시아통신]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경 의원은 6일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열린 서울역사박물관 및 한성백제박물관 행정사무감사에서, 두 박물관이 처음으로 공동 운영한 교육 프로그램 ‘한성부터 서울까지’의 성과를 높이 평가하고, 협력 모델 확대를 제안했다. 김 의원은 “최병구 서울역사박물관장과 김지연 한성백제박물관장의 리더십이 빛난 사례”라며 “두 박물관이 공동으로 진행한 ‘한성부터 서울까지’ 프로그램은 한성백제의 고대부터 서울역사박물관의 근현대까지 서울 2천년 역사를 한 흐름으로 체험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도였다”고 평가했다. 이어 김 의원은 “박물관마다 시대가 단절돼 있었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한성백제와 서울역사박물관이 협력함으로써 교육의 연속성과 통합적 역사 이해를 가능하게 했다”고 밝혔다. 두 박물관은 올해 10월 공동으로 온라인 교육을 12회 운영해 약 270명의 학생이 참여했으며, 총 12개 학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전체적으로 700명 정도의 교육생이 참여했고, 만족도가 높았다”며 “내년에는 다른 시립박물관들과 협력해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할 계획”이라고 보고했다. 김 의원은 “두 관장님의 협력 의지와 실행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