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기상청 제공

국제

정읍시, 조선왕조실록 수호한 정읍 두 선비…국가유산지킴이의 날 기념행사 열려

 

[아시아통신] 임진왜란 속에서도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낸 정읍의 두 선비 안의와 손홍록의 숭고한 헌신이 433년이 오늘날 내장산 자락에서 되살아났다.

 

시는 22일, 국가유산지킴이의 날을 맞아 내장산 우화정 특설무대에서 ‘조선왕조실록 이안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국보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낸 정읍의 역사와, 관의 지원 없이 사재를 털어 문화유산을 지켜낸 두 선비의 결단과 민간의 숭고한 헌신을 되새기는 자리였다.

 

기념식에는 이학수 시장, 박일 시의회 의장을 비롯해 400여 명의 시민과 관광객이 참석했다. 클랑앙상블의 연주와 청운사 향원 스님의 성악 공연이 어우러지며 문화유산의 의미를 더욱 깊게 전달했다.

 

기념식 후에는 실록과 어진을 품고 내장산 용굴로 향했던 433년 전 그날을 되살리는 이안 재현 행렬이 이어졌다. 시민과 관광객 등 200여 명이 참여한 이 행렬은 실록을 품에 안고 험한 산길을 걸었던 선비들과 백성들의 마음을 몸소 체험하는 뜻깊은 시간이 됐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보다 예산을 확대해 연극 공연 등 다양한 콘텐츠를 추가했다. 특히 안의·손홍록 선생의 업적을 조명하는 무대는 참여자들의 이해도와 공감을 끌어올렸다는 평가다.

 

이학수 시장은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낸 내장산에서 이런 의미 있는 행사가 개최돼 매우 뜻깊다”며 “오늘 하루만이라도 안의·손홍록 두 선비의 이름을 기억하자”고 강조했다.

 

조선왕조실록 전주 사고본은 임진왜란 발발 직후인 1592년 6월 22일, 안의와 손홍록 두 선비가 마을 주민 20여 명과 함께 내장산 용굴암으로 옮겨 화마를 피해 보존됐다. 이후 은적암, 비례암 등으로 이안하며 1년간 실록을 온전히 지켜낸 이들의 헌신은 오늘날까지도 높이 평가받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2018년, 이들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6월 22일을 ‘국가유산지킴이의 날’로 지정했다. 시는 이 정신을 계승해 매년 조선왕조실록 이안 기념행사를 통해 시민과 함께 그 의미를 되새기고 있다.

배너
배너


[칼럼]"의료와 문화가 만나는 외교" – 공공의료의 우수성과 문화교류의 시너지
강남은 단지 고층건물과 화려한 거리만으로 설명될 수 없는 도시이다. 이곳은 첨단의료와 깊이 있는 문화가 공존하는 복합도시이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도시브랜드이기도 하다. 나는 이러한 강남의 특성을 국내외 인사들에게 소개하며 ‘의료문화외교’라는 새로운 형태의 교류를 실현하고 있다. 올해 1월, 나는 폴 소바 마사콰이 주한 시에라리온 대사를 두 차례에 걸쳐 강남구에 초청하였다. 첫 번째 만남에서는 봉은사를 방문하여, 한국 전통문화와 K-의료의 융합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일정을 준비하였다. 두 번째 일정에서는 강남보건소를 방문하여, 감염병 예방 시스템, 건강검진 및 모자보건 시설, 정신건강 관리 체계 등 선진 공공의료 행정을 소개하였다. 시에라리온은 의료 시스템의 현대화가 시급한 나라이다. 따라서 이번 만남은 일방적 홍보가 아니라 상호 협력을 위한 소통의 장이었다. 마사콰이 대사는 우리 시스템에 깊은 관심을 표하며, 자국의 공공의료 개혁에 강남의 경험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나는 강남의료의 우수성을 더욱 널리 알리고자, 향후 잠비아 등 다른 개발도상국과도 의료문화 협력 관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나는 강남보건소의 관계 공무원들과 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