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교육

서울교육청, 1회용품 반입·사용 금지, 넷 제로(Net Zero) 행사 선언!

탄소제로·생태적 조직문화 조성에 교육기관이 앞장설 것

11.jpg

출처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감 조희연)은 12월 19일(화)에 전직원이 참여하는 실천 선언식을 실시한다. 

 

 이는 ‘탄소 배출을 줄이는 생태적 조직문화’를 전면 확산 운동의 시작을 알리는 행사로 앞으로 교육청 내 1회용품 반입·사용 금지, 넷 제로(Net Zero) 행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 넷 제로(Net Zero) 행사: 1회용품, 플라스틱 용기 음료, 의례적인 기념품, 종이 인쇄물 없는 행사

   ※ 넷 제로(Net Zero): 온실가스(탄소)의 배출량과 흡수량이 동일하여 온실가스(탄소)의 순(net, 純) 배출량이 영(zero)이 되는 상태

 

  실천 선언문에는 △정책 수립부터 일하는 방식까지 생태적 전환 고려 △다회용품 사용, 종이 없는 회의 등 탄소 배출을 줄이는 행동 실천 △일상 속 기후행동 실천 권유하기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서울시교육청(본청) 전체 직원 824명이 서명을 하고 함께 참여하게 된다. 

 

 ‘탄소배출을 줄이는 생태적 조직문화 확산’의 3대 주요 과제는 △1회용품 OUT, △종이 사용 DOWN, △자원순환 실천 GO 이다.

 

  - (1회용품 OUT!) 1회용품 반입·사용하지 않기, 행사(회의·연수) 시 1회용품 사용하지 않기, 화장실 내 종이타월 대신 손수건 사용하기 등

  - (종이 사용 DOWN!) 책자 형태 간행물 감축, 전자기기를 활용한 스마트한 회의, 온라인 플랫폼 등을 활용하여 종이 사용 최소화 등

  - (자원순환실천 GO!) 불필요한 것은 줄이기, 재사용·재활용하기, 필요 없는 것은 거절하기 등

 

 

 특히, 2024년 1월 1일부터 △교육청 내 1회용품 반입·사용 금지, △회의는 넷 제로(Net Zero)로! 가 전면 실시되며, 

 

  2024년 1월에는 본청, 2월에는 11개 교육지원청과 29개 직속기관, 3월부터는 초・중・고 학교까지 생태적 조직문화 확산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최근 정부가 1회용 종이컵과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규제하는 정책을 사실상 철회한 가운데 서울시교육청의 이번 정책은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에 대한 강력한 의지의 표명이라 할 수 있으며,

 

  2026년까지 종이 사용량을 50% 감축하고 1회용품 및 플라스틱 용기를 전면 퇴출하는 등 교육기관으로서 탄소중립을 위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기후위기 비상시대, 인간과 자연의 공존과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해서는 개인의 생각과 행동 양식, 조직문화 및 교육행정 시스템까지 총체적 전환이 필요하다”며, “우리교육청 모든 기관과 부서가 솔선수범하여 생태적 전환 및 탄소중립 실행 방안 추진 노력을 함께 해 나가자”고 말했다.

배너
배너


수원특례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사람과 반려동물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도시 연구회’연구용역 착수
[아시아통신] 수원특례시의회 내 연구단체인 ‘사람과 반려동물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도시 연구회’가 5월 2일 문화체육교육위원회 회의실에서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김소진 대표의원을 비롯해 이재선 의원, 정영모 의원, 현경환 의원, 수원시 관련부서 및 용역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하여 반려동물과 사람 모두가 조화롭게 공존하는 도시 환경 조성을 위한 반려동물 친화 도시 공존 거버넌스 구축 연구 방향에 대해서 논의했다. 이번 연구는 ▲수원특례시 내 반려동물 인프라 현황 분석 ▲국내외 반려동물 정책 및 조례 비교 ▲반려인과 비(非)반려인의 인식 개선 방안 ▲사회적 고립 해소 및 생명존중 문화 확산을 위한 정책 제안 등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김소진 대표의원은 “이번 연구는 단순한 동물 보호를 넘어 복지의 개념으로 확장된 정책 패러다임을 수립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며 “사람과 동물이 함께 사는 따뜻한 도시, 수원특례시의 미래상을 그려갈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회는 김소진 대표의원(국민의힘, 율천·서둔·구운·입북)외 배지환 의원(국민의힘, 매탄1·2·3·4), 이재선 의원(국민의힘, 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