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5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회

삼육대 김상래 전 총장, 정년퇴임 맞아 고별강연

“삼육(三育)은 ‘영지체(靈智體)’로 표현해야”

아시아통신 박대홍 기자 |  


   

사본 -[사진] 삼육대 김상래 신학과 교수 정년퇴임 고별강연 (3).jpg

 

 

 

 

삼육대 제13대 총장과 신학연구소장 등을 역임한 안반(安磐) 김상래 신학과 교수가 오는 8월 정년퇴임을 맞아 고별강연을 열었다.

 

강연은 지난 5월 31일 삼육대학교회에서 진행됐으며, 삼육대 신학연구소의 전반기 학술대회와 겸해 개최됐다. 이 자리에는 후배 교수와 제자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김상래 교수는 ‘재림교회 교육 이상과 삼육교육 명칭 사이의 정반합(正反合)’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엘렌 화잇의 저서 ‘교육’을 중심 줄기로 삼아, 재림교회 ‘교육이상’은 단순한 교육과정 이상의 것으로 현세를 넘어 내세를 준비시키는 ‘전인교육’이며, 그 구체적인 내용이 ‘physical-mental-spiritual’ 혹은 ‘physical-mental-moral’로 제시되고 있음을 재확인했다.

 

여기서 그는 ‘삼육(三育)’의 근간이 된 이 세 가지 요소를 어떻게 표현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지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첫째는 순서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둘째는 ‘mental’을 ‘알 지’(知)로 해석해야 하는지 ‘지혜 지’(智)로 봐야 하는지, 셋째로 ‘moral’의 ‘덕’(德)과 ‘spiritual’의 ‘영(靈)’ 중 무엇을 택해야 하는지 등이다. 다시 말하면, 현재 삼육 교계에서 혼용되고 있는 지덕체(知德體)와 지덕체(智德體), 덕지체(德智體), 영지체(靈知體) 중 무엇이 맞느냐 하는 문제다.

 

김 교수는 화잇이 강조한 가치의 측면에서 삼육(三育)은 ‘영지체(靈智體)’로 표현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면서 표기의 통일을 강조했다.

 

끝으로 그는 기독교 대학들의 정체성을 지키고자 하는 여러 역사적 시도를 소개하며 삼육인들도 그렇게 해주기를 당부했다.

 

통상 은퇴 기념 강연은 자신의 전공 영역의 주제를 다룬다. 그러나 구약학자인 김 교수는 이날 ‘삼육교육’을 주제로 선택했다. 삼육교육에 대한 그의 애정이 그만큼 각별하다는 의미다.

 

김 교수는 만 30년의 세월 동안 재림교회 신학의 대내외적 정립을 위해 애쓴 신학자로, 제자들에게 성경의 깊은 기별을 탐구하도록 격려하는 스승으로, 대학의 발전을 위해 총장을 포함 다양한 보직을 수행하며 최선을 다한 행정자로 살아왔다.

 

김 교수는 삼육대 신학과 출신으로 삼육대 대학원 신학과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에 각각 1호로 입학했다. 석사학위 취득 당시 전국신학대학협의회(KAATS)로부터 전국 최우수 학위논문상을 수상했다. 영국 셰필드대에서 구약 및 유대주의를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또 심리학 학사와 석사를 지니고 있으며, 평화학 박사학위도 있다. 삼육대 중앙도서관장, 교목실장 등을 거쳐 제13대 총장(2012~2016년)을 역임했다.

 

김 교수는 정년퇴임을 기념해 총 4권의 문집을 출판했다. 제1권 ‘재림교회를 향한 고백과 고언’, 제2권 ‘창조에서 샬롬까지’(논문선집), 제3권 ‘삶의 날줄과 씨줄’(기고문집), 제4권 ‘캠퍼스 기억과 추억’(회고문집) 등이다.

 

한편 이날 저녁에는 김 교수가 삼육대로 부름을 받을 당시 목회자로 섬겼던 남양주시 진건읍 사릉중앙교회에서 정년퇴임 기념예배가 열려 의미를 더했다. 

배너
배너


이숙자 운영위원장, 광복 80주년을 앞두고 “애국과 헌신”되새겨
[아시아통신] 이숙자 서울특별시의회 운영위원장(국민의힘·서초2)은 지난 8월 4일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열리는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전 개막식에 참석하여 시민들을 맞이하고, 축사를 통해 전시의 시작을 알렸다. 이번 특별전은, 안동시와의 교류협력 전시로, 안동 출신 독립운동가 이상룡 선생의 생애와 만주 무장독립운동의 의미, 임청각의 역사와 어록, 서예 작품을 전시하고 의미를 되새기는 한편, 서울 시민들이 80년간 광복절을 기억해 온 방식을 문학, 영화, 음악 등 대중문화 자료를 통해 재조명하는 전시가 동시에 진행된다. 이숙자 위원장은 축사에서 “이상룡 선생님은 독립운동가이시자 문중의 어르신으로, 그분의 삶은 늘 저에게 큰 울림이자 지침이 되어왔다.”고, 깊은 존경과 애정을 표현했다. 특히 “임청각을 포함한 전재산을 처분해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한 선생님의 결단은, 당대 지도층이 보여준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상징이자 실천이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위원장은 이번 전시의 기획 의도와 역사적 의미에 깊이 공감하며,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독립운동가들의 삶을 다시 기억하고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당부하며, “서울시의회도 이러한 뜻깊은 전시가 앞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