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9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죽음의 무도

 

중109(작)1.jpg

<전북 무주, "덕유산 겨울">  김광부 기자

 

“언젠가는 죽을 수밖에 없다는 건 동서고금의 보편 명제지만 특히 페

스트가 막 휩쓸고 지나간 중세 말기 유럽에서는 강박관념과도 같았던

것이다. 그 때 〈죽음의 춤〉이라는 연극이 상연되기 시작했다. 그 내

용은 해골 모습을 한 죽음이 다양한 신분과 직업의 사람들― 왕과 왕비,

성직자, 기사, 귀부인, 상인,농노 등―을 하나씩 불러내 춤을 추고 그

들이 갖은 이유를 대며 몸부림치는데도 불구하고 결국 무덤으로 끌고

들어가는 것이었다.  곧 〈죽음의 춤〉은 그림으로도 많이 그려지게

되었다.”


문소영 저(著) 《명화독서》 (은행나무, 239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중39.jpg

<전북 무주, "덕유산 겨울">  김광부 기자

 

14세기 유럽은 페스트의 영향으로 ‘죽음의 무도(La Danse Macabre)’

라는 죽음을 주제로 한 예술이 탄생했습니다. 죽음의 무도를 주제로 한

벽화와 판화에는 해골이 등장하고, 교황과 황제, 추기경, 대주교, 시민,

상인들의 등 뒤로 해골들이 닿을 듯 말 듯 아슬아슬한 거리에서 춤을

추며 그들을 무덤으로 끌고 들어갑니다.

 

중99.jpg

<전북 무주, "덕유산 겨울">  김광부 기자

 

 어느 계층이건, 성공한 자와실패한 자 상관 없습니다.

 모두들 죽음 속으로 갑니다. 페스트가 창궐 하자 

유럽인들은 삶의 한가운데로 깊숙이 들어온 죽음을 자각하였습니다.

 

중79.jpg

<전북 무주, "덕유산 겨울">  김광부 기자

 

 그리고 인간은 죽음 앞에서 평등하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우리는 코로나로 인해 그들의 깨달음에 많은 부분 공감합니다.

인생에서 가장 확실한 것은 “모두 죽는다”는 사실입니다.

 

중74(작).jpg

<전북 무주, "덕유산 겨울">  김광부 기자

 

담임목회를 하면서 임종의 순간을 많이 봅니다. 이 가운데서 깨닫는

것이 있습니다. 성도의 죽음은 확실히 다르다는 것입니다. 생명의 삶을

살아온 사람들, 하늘 소망을 바라보면서 걸어가는 사람들,그 강을 건

너가는 사람들,그들 안에는 하나님이 주시는 평강과 아무도 흔들 수

없는 확신이 그들을 사로잡고 있는 모습을 볼 수가 있습니다.

 

중84.jpg

<전북 무주, "덕유산 겨울">  김광부 기자

 

 우리 성도들은 이 죽음의 강을 건너가면서 

이렇게 소리쳐 노래할 수 있습니다.

“사망아 너의 승리가 어디 있느냐? 사망아 네가 쏘는 것이 어디 있느

냐?...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에게 승리를 주시는 하나

님께 감사하노니” (고전15:55-57)

<경건 메일 / 한재욱 목사>

 

중94.jpg

<전북 무주, "덕유산 겨울">  김광부 기자

 

중86.jpg

<전북 무주, "덕유산 겨울">  김광부 기자

 

중41(작).jpg

<전북 무주, "덕유산 겨울">  김광부 기자

 

중87.jpg

<전북 무주, "덕유산 겨울">  김광부 기자

 

중101(작)1.jpg

<전북 무주, "덕유산 겨울">  김광부 기자

 

 

배너
배너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전국체전과 함께하는 의정 역량 강화 세미나 개최!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위원장 박상혁)는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와 내년도 예산안 심의를 앞두고 의원들의 전문성과 정책역량 강화를 위한 세미나를 10월 15일(수)부터 17일(금)까지 부산에서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제106회 전국체육대회’가 열리는 부산에서 진행되었고, 전국체육대회 일정을 고려하여 서울시 학생선수단을 직접 방문해 격려하는 등 현장 소통 중심의 공식 일정을 병행했다. 우선, 교육위원회는 부산의 교육정책을 청취하고 우수사례를 공유하기 위해 벡스코(BEXCO)에서 열린 ‘2025 부산교육 한마당’에 참여하고, 부산광역시의회를 방문해 교육위원회 위원들과 교육정책 교류와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등 다양한 현장 일정을 소화했다. 이어 16일에는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제106회 전국체육대회(전국체전)에 대한 브리핑을 받은 뒤 사직종합운동장에서 열린 남자 수구 경기를, 17일에는 강서하키경기장에서 열린 여자 하키 준결승전을 관람하며 선수들의 열정적인 경기에 뜨거운 응원과 격려를 보냈다. 무엇보다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가 서울시 학생 선수가 참여하는 전국체전 경기를 관람함과 동시에 그들의 활동을 격려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점에서 매우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