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3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안 지워진다면

 

 

산53(작)1.jpg

<전북 임실 "치즈테마파크 겨울 풍경(산타축제)">  김광부 기자


“인터넷의 원형인 아르파넷(advanced research project agency network,

Arpanet)의 핵심은 통신 프로토콜(protocol)입니다. 즉, 컴퓨터끼리 데

이터를 원활하게 주고받을 수 있도록 고안된 통신 규약들입니다(중략).

재미있게도 인터넷의 시작은 미국 국방부의 방위고등연구계획국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 Agency, DARPA) 에 의해 개발된

프로토콜이었습니다. 1960년대 그리고 1970년대의 가장 큰 걱정은 제3차

세계대전과 핵전쟁이었습니다. 그러나 미 국방부의 보다 구체적인 고

민은 전쟁이 발발하거나 미국 영토에 핵폭탄이 투하되었을 때 군의 통

신이 마비되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TCP/IP는 정보를 작은 단위로 쪼

개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김대식 저(著) 《메타버스 사피엔스》 (동아시아, 105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산1.jpg

<전북 임실 "치즈테마파크 치즈마을 겨울 풍경(산타축제)">  김광부 기자

 

김상욱교수는 「알뜰범잡」이라는 프로에서 이런 말을 했습니다.

“인터넷은 군사 장비였다. 원래 이름은 ‘아르파넷’이라고 한다.  

적의 핵 공격이 있을 때 만약에 모든 정보가 하나의 컴퓨터에 집중되어

있다면, 거기에 미사일이 떨어지는 순간 끝장 나는 것이다. 그래서 정

보를 수많은 곳에 분산해서 이것들 사이를 다 연결해서 마치 그물망처럼

만든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핵무기의 공격에도 정보가 없어지지

않도록 구축된 네트워크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것이 인터넷의 중요한

속성이다. 따라서 자신의 개인적인 정보가 올라가는 순간 지우기가

힘들다.”

 

산2.jpg

<전북 임실 "치즈테마파크 겨울 풍경(산타축제)">  김광부 기자

 

내가 인터넷에 올린 수많은 글과 정보들이 지워지지 않는다면 끔찍한 일

일 것입니다. 내가 지은 죄가 지워지지 않는다면 더욱 비극일 것입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예수님을 믿으면 우리의 죄를 기억하지 않고 용서하신

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이를 기쁜 소식 즉 ‘복음’이라고 합니다.  


“그 아들 예수의 피가 우리를 모든 죄에서 깨끗하게 하실 것이요”

(요일1:7b) <경건 메일 / 한재욱 목사>

 

산11.jpg

<전북 임실 "치즈테마파크 겨울 풍경(산타축제)">  김광부 기자

 

산4.jpg

<전북 임실 "치즈테마파크 겨울 풍경(산타축제)">  김광부 기자

 

산13.jpg

<전북 임실 "치즈테마파크 겨울 풍경(산타축제)">  김광부 기자

 

산15.jpg

<전북 임실 "치즈테마파크 치즈체험관 겨울(산타축제)">  김광부 기자

 

산16.jpg

<전북 임실 "치즈테마파크 겨울 풍경(산타축제)">  김광부 기자

 

산17.jpg

<전북 임실 "치즈테마파크 겨울 풍경(산타축제)">  김광부 기자

 

산18.jpg

<전북 임실 "치즈테마파크 겨울 풍경(산타축제)">  김광부 기자

 

 

 

배너
배너


박정훈 의원, 배민·쿠팡 등 『배달플랫폼 갑질 방지법』 발의
[아시아통신] 국민의힘 박정훈 의원(송파갑)이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일명 <배달플랫폼 갑질 방지법>을 대표 발의했다고 10일 밝혔다. 개정안은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등 대기업 배달플랫폼이 중개수수료·결제수수료·광고비 등 다양한 명목으로 영세입점업체에 과도한 비용을 부과하고, 그 인상분을 소비자 가격으로 이중 전가하는 불공정 행위를 차단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현재 배달플랫폼은 음식 가격의 2.0~7.8%를 중개수수료로 부과하고 있으며, 여기에 배달비, 결제 수수료, 부가가치세 등을 포함하면 주문 금액의 약 30%를 가져가고 있다. 총 2만 원 중 가맹점주가 6천 원을 배달 비용을 부담하는 구조다. 결과적으로 음식을 만들어 파는 업주는 이익을 보지 못하고 있으며 배달플랫폼은 폭리를 취하는 상황이어서 개선이 시급하다. 2024년 기준 배달의민족 매출 4조3226억원 중 영업이익은 6408억원으로 영업이익율은 무려 15%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제조업 평균 영업이익율 5.6%의 3배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독일계 자본이 인수한 배달의 민족과 미국계 자본인 쿠팡이 국내 자영업자들의 이익을 과도하게 챙겨가는 구조적 문제가 방치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