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IT과학

경상남도, 논벼 온실가스 배출 감축 본격 추진

의령군 궁류면 일대에 저탄소 벼 생산단지 시범 조성

 

 

 아시아통신 최지나 기자 | 경상남도는 농업생산과정 중 논벼에서 생성되고 있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저탄소 벼 시범 생산단지를 본격적으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계적 문제인 기후변화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모든 산업분야가 노력해야 하는 상황이며, 특히 농업분야는 온실가스 배출량 2천만 톤 중 논벼에서 30% 정도인 6백만 톤이 해마다 발생하고 있어 우선적으로 감축을 추진해야 하는 상황이다.

 

 

저탄소 벼 시범 생산단지는 모잔들영농조합법인 회원 113농가, 100ha를 의령군 궁류면 일대에 조성하며, 단지 내 기술지원과 교육컨설팅은 경남도와 의령군 그리고 경상국립대학교가 함께 지원한다.

 

 

기존의 벼 재배방법은 물을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7월 초중순경 2주 이내 물떼기(중간낙수)를 하고 7월 중하순부터 벼가 익는 시기까지는 물을 깊이 대어(5~7cm) 재배한다. 이 방법은 메탄 생성균의 활동을 활발하게 만들어 온실가스인 메탄가스가 많이 발생한다.

 

 

이번에 조성하는 시범단지는 중간물떼기를 2주 이상 실시하여 충분히 논을 말리고 이후 벼알이 익는 시기까지 2~3cm 얕게 물을 대고 말리는 것을 반복한다. 토양이 건조해지면 산소가 풍부해져 메탄 생성균의 활동을 억제해 메탄가스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특히 100ha 단지 내에는 시험포장을 6개소 운영하면서 저탄소 재배 물관리를 통한 벼 미질, 수량 등을 분석하여 메탄가스 발생량, 미질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등을 규명하여 향후 국가 메탄지수개발과 농가 보급확대 시 적용한다.

 

 

또한 물꼬, 균평기, 수위측정기, 논두렁 조성기, 저탄소 배출 비료 등 농가들이 저탄소 벼 생산을 보다 쉽게 할수 있도록 농자재와 장비를 지원한다.

 

 

아울러 도내 전 논벼 재배농가를 대상으로 저탄소 농업 기술 확산을 위해 시군별 교육홍보를 지원하여 탄소중립과 환경보호, 소득증대를 함께 이룰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저탄소 농법으로 재배한 벼는 기존 농산물우수관리제도(GAP), 친환경인증을 받은 경우 저탄소 농산물로도 인증을 받아 판로 확대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경남도는 2024년까지 3년간 3개소 정도 시범단지를 운영할 계획이어서 관심 있는 농업경영체와 지자체에서는 계획을 수립하여 향후 신청하면 된다.

 

 

서양권 경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논벼를 시작으로 농업분야 전반에 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하는 만큼 농가에서도 적극 감축 재배법에 관심을 가지고 실천해 주길 바란다”라고 당부하였다.
배너
배너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지방교육재정안정화, 국가가 함께 책임져야 합니다
[아시아통신]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회장 강은희 대구광역시교육감)는 8월 11일 서울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지방교육재정의 현재, 미래는?'이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국회 교육위원회 김문수 의원(전남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과 협의회, 지방교육재정 교육감 특별위원회(위원장 임태희 경기도교육감)가 공동 주최했으며 신경호 강원도교육감, 윤건영 충청북도교육감, 김광수 제주도교육감을 비롯해 교육부 관계자, 교육재정 전문가, 시·도교육청 관계자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김영호 국회 교육위원장(서울 서대문을)은 서면 축사를 통해 고교 무상교육 국가 부담 연장 등 교육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를 강조하며, 안정적이고 차별 없는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의지를 밝혔다. 토론회에 참석한 김문수 국회의원, 임태희 특별위원장, 강은희 협의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지방교육재정의 안정적 확보와 교육자치 강화를 위한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은 시·도교육청이 실제로 직면하고 있는 재정 여건과도 깊이 맞닿아 있다. 17개 시·도교육청은 지난 3년간 세수 결손을 교육재정안정화기금 등으로 보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