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IT과학

2만 4000년 간 죽지 않은 '좀비' 깨어났다  

시베리아의 얼어 붙은 영구동토층(凍土層)에서 좀비가 발견됐다. 수만년 동안 죽지 않고 있다가 다시 깨어나 후손까지 퍼뜨리는 기적 같은 일을 연출했다. 러시아 토양빙설학연구소의 스타스 말라빈 연구원은 지난 8일, 국제학술지 '컨런트바이올로지'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시베리아 영구옹토층에서 2만 4,000여년 전의 윰충(輪蟲)을 발견해 소생시켰다"고 밝혔다. 윤충은 연못이나 호수에 사는 무척추 동물로 한쪽 끝에 달린 섬모 꼬리를 수레바퀴처럼 돌려 움직인다고 해서 이런 이름을 붙였다. 말라빈 연구원은 " 영구(永久)동토층에서 단순한 생명체인 박테리아들은 생존하지만 이번 윤충은 뇌와 신경계를 잦춘 동물"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지난 2015년 시베리아 동북부 알라제야간 인근에서 땅을 3,5 m정도 시추하는 과정에서 윤충 한 마리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몸 길이는 4분의 1 ㎜였다. 주변 유기물의 연대기를 측정해보니 2만 3,960만년 내지 2만 4,485년으로 나와 윤충도 그즈음 동토층에서 얼어붙은 것으로 추정했다. 윤충은 영양분이 있는 배양 접시에서 온도가 올라가자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짝짓기 없이 무성생식으로 자신과 똑같은 후손까지 증식했다. 윤충을 사람과 대비시킨다면 과연 어떤 결과가 나올까? 별개 다 상상된다.
배너
배너


김영옥 보건복지위원장, 『지역아동센터 중학생 위한‘서울런’지원』추진 적극 환영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영옥 위원장(국민의힘, 광진3)은 서울시가 오는 7월부터 지역아동센터 중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서울런’ 시범사업과 향후 사업 확대 계획에 대해 “교육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매우 의미 있는 정책”이라며 적극 환영의 뜻을 밝혔다. ‘서울런’은 취약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강의와 1대1 멘토링을 무료로 제공하는 서울시의 대표 교육복지 사업이다. 특히 이번 시범사업은 아동복지시설인 지역아동센터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간 멘토링과 학습 콘텐츠 개방, 전용 ID를 활용한 학습관리 기능 강화 등을 포함하고 있어 현장의 실질적 수요에 부응하는 조치로 평가받고 있다. 김영옥 위원장은 “교육에서 출발선의 차이는 곧 삶의 격차로 이어진다”라며, “서울런 대상 아동임에도 실제 이용률이 낮았던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이번 시범사업이 추진되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며, 실제 교육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김 위원장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농협의 민간 후원이 더해진 이번 사업은 민관 협력의 우수 사례로, 서울시 복지 정책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며, “시범사업 이후 전면적인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