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민생경제가 큰 타격을 입고 있는 가운데쌀·기름값· 채소 등 핵심 생활물가가 크게 올라 서민들의 생활을 더욱 압박하고 있다. 지난 2020년 전체 소비자 물가는 0,5% 상승에 그쳐 안정된 모습을 보였으나 반면, 국민의 생활과 직결되는 농수산물 가격은 크게 오르는 이중적 양상이 극명했다. 9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작년 소비자 물가는 코로나19로 인한 소비 수요감소 등으로 전년대비 0,5% 오르는데 그쳤다. 하지만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농산물은 6,4%, 축산물은 9,7%나 껑충 뛰었다. 채소와 과일 등 신선식품도 10%이상 올랐다. 특히, 국민의 주식인 쌀값은 무려 11,5%나 뛰어 올라 시민들에게 치명적 압박이 되고 있다. 쌀값이 치솟자 최근, 한국 YMCA는 쌀값 안정을 촉구하는 성명을 내고 "정부가 농가소득보전에는 막대한 세금을 지출하면서도 쌀값은 매년 천정부지로 올라 소비자에게 이중적 부담을 두고 있다"고 정부 정책을 비난하기도 했다. 쌀값 이외에 국민식품인 돼지고기는 16,1%, 국산쇠고기는 10,7% 올랐다. 밥상에 자주 오르는 고등어는 12,8%, 햄 및 베이컨은 8,6%나 뛰어 올랐다. 채소류 가격은 폭등 수준이다. 배추소매가는 지난 7일 기준 27976원로 최근 열흘 새 3,6% 올랐고, 양배추는 한포기에 6,7%, 적상추는 100g에 920원으로 29%, 애호박은 1개에 10% 뛰어 올랐다. 휘발유 값도 최근들어 계속 오름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