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통신] 정부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가 10월 27일부터 10월 30일까지 페루 리마에서 열린 제63차 총회에서 2027년 발간 예정인 이산화탄소 제거/탄소 포집·활용 및 저장 방법론 보고서의 개요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총회에는 각 회원국의 대표단 400여 명이 참가했으며, 우리 정부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주관부처인 기상청을 중심으로 해양수산부와 전문기관으로 대표단을 구성하여 참여했다.
총회에서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2013년 국가 온실가스 목록(인벤토리) 습지 부문 보충 지침' 이후 새로운 탄소흡수원(블루카본 등) 인정을 위해 이산화탄소 제거/탄소 포집·활용 및 저장에 대한 배출량 산정 방법론 갱신 논의가 제62차 총회에 이어 진행됐다.
한국을 비롯한 일본, 칠레, 노르웨이, 영국 등 여러 국가에서 갯벌, 해조류, 조하대 퇴적물 등을 새로운 탄소흡수원으로 인정하는 것에 대해 지지의 의사를 밝혔으며, 최종적으로 방법론 보고서 개요가 승인되어 보고서 발간을 2027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총회의 주요 의제 중 하나인 제7차 평가주기의 실무그룹별 보고서 발간 일정에 대한 최종 결정은 2026년 3월에 개최될 차기 총회에서 이루어지기로 했다.
제7차 평가보고서 발간 일정과 관련되어 논의된 주요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한국 등 선진국 그룹과 최빈개도국 그룹은 책임 있는 국제 공동의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2028년으로 예정된 파리협정의 제2차 전지구적 이행점검과의 정책 연계성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제7차 평가보고서가 2028년까지는 발간되어야 한다는 시급성을 강조했다.
한편, 일부 개발도상국 그룹은 제7차 평가보고서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의 협상 및 정책 결정 과정에 보다 넓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역량이 부족한 개발도상국 전문가들의 입장과 지역별 토착 지식들도 최대한 포용할 수 있어야 하며, 그를 위한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이에 따라, 보고서 발간과 관련하여 합의가 이루어진 2026년까지의 일정은 우선 진행하면서, 2027년 이후의 일정은 차기 총회에서의 추가적 논의를 통해 구체화하기로 결정됐다.
이미선 기상청장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보고서는 국내 기후위기 대응 정책뿐 아니라 국제 기후변화 협상의 가장 주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되는 매우 중요한 보고서”라며, “이번 총회에서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론 보고서 개요가 갯벌 등을 새로운 탄소흡수원으로 포함하자는 우리 정부의 입장이 반영되는 내용으로 성공적으로 합의된 것을 높게 평가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기상청은 관계 부처와의 협력을 통해 2026년 상반기에 선정 예정인 이산화탄소 제거/탄소 포집·활용 및 저장 방법론 보고서 집필진에 국내 전문가들 비중을 확대할 방안을 강구”하는 한편, “향후 확정될 제7차 평가보고서 발간 일정에 따라 11명의 우리나라 저자들의 보고서 작성 활동을 적극 지원하여 보고서에 국내 우수 정책과 연구 사례가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