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통신] 농촌진흥청은 10월 22일 충주시농업기술센터에서 토양분석 관계기관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신속토양분석 현장실증과제 현장 평가회’를 연다.
이번 평가회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현장실증 연구과제의 하나로, 횡성·충주·천안·완주 등 4개 시군농업기술센터가 협업해 추진한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자리이다.
농촌진흥청이 새로 개발한 신속토양분석 기술과 기존 분석법의 장단점을 비교, 설명하고 시군농업기술센터와 읍면 지소 중심의 과학영농 서비스 적용 방안을 논의한다.
또한, 참가자들이 직접 신속토양분석 기술을 실습하며 신기술 편의성과 정확성을 체험하게 된다. 이와 함께 신속토양분석 기술의 현장 적용 확대를 위한 개선 과제와 운영 방안을 토론하는 시간도 갖는다.
‘신속토양분석 기술’은 적외선을 이용한 토양분광분석법(Soil Spectroscopy)으로 토양에서 반사되는 스펙트럼을 인공지능(AI) 기술로 분석해 다양한 토양화학성을 신속하게 진단한다.
이 기술은 토양 시료의 스펙트럼을 한 번 측정하는 것만으로 주요 화학성분(유기물, pH, 유효인산 등)을 최대 94% 정확도로 동시에 알 수 있다.
기존 토양분석은 성분별로 ‘채취 → 침출 → 발색 → 측정 → 계산’의 과정을 거쳐야 해서 많은 시간과 숙련된 전문 인력, 다양한 분석 장비 등이 필요했다. 그러나 새로 개발된 분석법은 중적외선(MIR) 분광기 1대로 분석하기 때문에 분석 시간, 노동력이 대폭 절감되며, 화학 시약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소규모 사무공간에서도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시군농업기술센터 읍면 상담소 등에서도 농가 상담과 비료처방 업무에 활용할 수 있다.
농번기 분석 의뢰 급증으로 시군농업기술센터의 비료사용처방서 발급이 지연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신속토양분석 기술이 현장에 확대 적용되면 처방서 발급 소요 시간을 기존 14일에서 2~3일 내로 단축할 수 있어 농가 편익과 업무 효율성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진흥청 농업환경부 이상재 부장은 “데이터 기반의 적정 비료 사용은 지속 가능한 농업과 농업인 소득 증대를 위한 핵심 기술”이라며, “앞으로 신속토양분석 기술의 확대 보급에 힘써 과학영농을 실현하고 합리적인 비료 사용 문화를 확산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