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통신] 울산 중구의회가 삼일회관과 옛 기상대 등 중구의 주요 근현대 문화유산이 가진 가치를 재조명하고 이를 보존해 나갈 방안을 제안했다.
중구의회 의원연구단체인 ‘역사문화공간 재생연구회’는 24일 의원회의실에서 정책개발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열고 중구 북정동 일원 근현대 문화유산의 보존과 자생적 복합문화공간으로서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보고회는 강혜순 의원의 진행으로 이명녀·홍영진·김도운·문기호 의원과 연구 용역업체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주요 연구 대상인 삼일회관과 옛 울산기상대·한국방송통신대학 건물 등 근현대 문화유산에 대한 역사적 가치와 보존 가능성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특히 이들 근현대 문화유산은 울산 중구의 전체 역사 문화에서 과거와 현재를 잇는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허리’로서 중요성이 강조되며 재개발로 인한 철거가 아닌 역사 문화자원의 활용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항일·청년운동의 거점이었던 삼일회관은 관계 법령에 따라 국가 유산 지정을 추진하는 한편 옛 기상대와 방통대 건물은 지역 유산으로 지정한 뒤 인근 시립미술관, 동헌과 연계시킨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변화 방안이 제시됐다.
이를 위해 대구와 목포, 일본 오사카, 미국 뉴욕 등의 주요 선진사례와 비교하는 한편 서울의 미래 유산 제도와 같은 정책 도입의 필요성도 함께 검토됐다.
강혜순 의원은 “재개발의 압력 속에 철거 위기에 놓인 근현대 문화유산을 필요한 부분은 최대한 보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은 정비시켜 우리 중구만이 가진 역사 기록물로서 미래세대에 전할 필요성에 모두가 공감했다”며 “올 연말까지 심도 있는 연구와 정책 개발을 토대로 중구청과 울산시 등과 함께 근현대 문화유산 보존과 활용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제시해 나갈 방침”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