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9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포토뉴스

노키아의 실패에서 배우라


“노키아도 애플의 충격이 오기 전에 이미 스마트폰을 만들고 있었다.
그들인들 혁신하고 싶지 않았을까? 그러나 그들이 추구했던 변화는 기존
사업의 프레임 안에서 이루어지는 개선에 불과했다. 애플처럼 새로운
미래를 만드는 작업이 되지는 못했다. 노키아가 과거 그들의 성공을 가
능하게 해 주었던 강점, 즉 비용 절감 능력은 새로이 등장한 시장에서
더 이상 강점으로 작용하지 못했다. 새로운 시장에서 요구한 강점은 사
용자의 감성과 콘텐츠 시장을 장악하는 능력이었던 것이다.”

송경모 저(著) 《피터 드러커로 본 경영의 착각과 함정들》(363)

 

 

노키아는 한때 세계 휴대전화 시장을 지배했습니다. 그들은 누구보다
먼저 ‘스마트폰’을 만들었고, 기능을 개선했습니다. 그러나 그 변화는
기존의 성공 공식 안에서만 이루어졌습니다. 비용 절감, 효율화, 기능적
개선 ― 모두 과거를 빛나게 했던 강점이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시
장은 다른 언어를 요구했습니다.

 

 

애플은 기술적 우월성보다 ‘사용자경험’을 내세웠습니다.

음악, 앱, 디자인을 통해 감성과 콘텐츠를 사로잡았고,

그것이 미래의 표준이 되었습니다. 결국 노키아의 강점은 더
이상 강점이 아니었습니다. 오히려 과거의 성공에 갇혀 새로운 흐름을
읽지 못하게 만든 족쇄였습니다. 혁신은 단순히 개선이 아닙니다.

 

 

기존의 프레임을 깨뜨리고, 새로운 규칙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과거의 성
공을 가능하게 했던 힘이 새 시대에는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회개(悔改)’해야 하는데, ‘회(悔)’는 했는데, ‘개(改)’는 하지
못했다는 말이 있습니다. ‘회’라는 것은 감정적 요소로서, 내가 죄
지은 것을 후회하고 부끄러워하며 슬퍼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만
가지고 회개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개’ 가 있어야 합니다. 고쳐야
한다는 말입니다. 뉘우침만 있지 말고, 하나님 앞에서 바른 삶을 살아야
하는 것입니다.  

 

 

우리 한국 사람들은 무척 정적(靜的)이어서 부흥회 때나 집회 때 쉽게
은혜 받고 눈물도 잘 흘립니다. ‘회’는 있습니다. 문제는 ‘개’가
많지 않다는 것입니다. 정적인 뉘우침은 있습니다. 그래서 ‘이제부터
주님 앞에 바로 살겠습니다. 이웃들을 사랑하며 살겠습니다’ 라며 결
심해 놓고, 교회 밖으로 나가자마자 주차 문제로 교인들끼리 소리 지
르며 싸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란 ‘바꾸고’ ‘고치는’ 것으
로서 의지적 결단입니다. 의지적으로 결단하고 죄에서 떠나야 합니다.
이런 결단을 하며 사는 성도에게 성령님은 그 결단을 도우십니다.

<강남 비전교회 / 한재욱 목사>

 

 

 

 

 

 

 

배너
배너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전국체전과 함께하는 의정 역량 강화 세미나 개최!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위원장 박상혁)는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와 내년도 예산안 심의를 앞두고 의원들의 전문성과 정책역량 강화를 위한 세미나를 10월 15일(수)부터 17일(금)까지 부산에서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제106회 전국체육대회’가 열리는 부산에서 진행되었고, 전국체육대회 일정을 고려하여 서울시 학생선수단을 직접 방문해 격려하는 등 현장 소통 중심의 공식 일정을 병행했다. 우선, 교육위원회는 부산의 교육정책을 청취하고 우수사례를 공유하기 위해 벡스코(BEXCO)에서 열린 ‘2025 부산교육 한마당’에 참여하고, 부산광역시의회를 방문해 교육위원회 위원들과 교육정책 교류와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등 다양한 현장 일정을 소화했다. 이어 16일에는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제106회 전국체육대회(전국체전)에 대한 브리핑을 받은 뒤 사직종합운동장에서 열린 남자 수구 경기를, 17일에는 강서하키경기장에서 열린 여자 하키 준결승전을 관람하며 선수들의 열정적인 경기에 뜨거운 응원과 격려를 보냈다. 무엇보다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가 서울시 학생 선수가 참여하는 전국체전 경기를 관람함과 동시에 그들의 활동을 격려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점에서 매우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