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7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포토뉴스

문제적 개인


“죄르지 루카치는《소설의 이론〉에서 근대 소설의 주인공을 ‘문제적
개인’이라고 이름 붙였다. 이 변화무쌍한 세계 속에 내던져져 자신의
운명을 알지 못한 채 신념의 푯대에 의지해 좌충우돌하며 자기 길을
찾아 떠나는 파우스트적 존재를 지칭하는 말이었다. 그 존재의 행보야
말로 근대적 주체의 전형적 모습이다.”

랄프 게오르트 로이트 저(著) 김태희 역(譯) 《괴벨스, 대중 선동의
심리학》 (교양인, 3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루카치가 말한 ‘문제적 개인’(problematischer Held)은 근대 소설의
주인공을 특징짓는 핵심 개념입니다. 루카치는 근대 소설의 주인공을
“세계와의 불화 속에 놓인 존재”로 보았습니다.

 

 

고대 서사시의 영웅들은 세계와 조화롭게 어우러진 존재였습니다. 그
들은 이미 주어진 질서 속에서 자신의 자리를 차지하고, 공동체와 운
명을 함께하며 삶을 살아갔습니다. 다시 말해, 세계와 영웅 사이에는
근본적인 불일치나 갈등이 없었습니다. 반대로 근대 소설의 주인공은
세계와 불화 속에 놓인 존재입니다.

 

 

변화무쌍하고 불안정한 사회 속에서, 그는

자신이 어디에 속해야 하는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끊임
없이 묻고 탐색합니다. 세계는 더 이상 안정된 질서로 주어지지 않고,
주인공은 자기 정체성과 의미를 스스로 찾아야 하는 존재가 됩니다. 그
과정은 늘 불확실하고, 모순과 좌절을 겪으며 끝없는 질문을 던집니다.

 

 

선악과를 따먹기 전,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과 자연과 완전한 조화 속에
살았습니다. 마치 고대 서사시의 영웅들처럼, 그들에게는 자신이 누구인
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없었습니다. 모든 것이 명확
하고 안정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죄의 유혹에 넘어간 순간, 인간은
에덴 동산에서 추방되며 루카치가 말한 ‘문제적 개인’이 되었습니다.
하나님과 세계와 자연과 불화하며, 끝없이 자신의 정체성과 삶의 의미를
찾아 헤매는 존재가 된 것입니다.

 

 

불화하며 헤매는 인생, 그것이 죄로 인해 잃어버린 우리의 모습입니다.
정체성과 의미를 찾아 끝없이 질문하지만, 답은 인간 안에서 나오지 않
습니다. 길을 잃은 영혼에게 참된 방향은 오직 하나님께 있습니다.
돌아오는 자를 주님은 결코 버리지 않으시고, 긍휼로 맞아주십니다.
그분의 용서 안에서만 잃어버린 조화와 평안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악인은 그의 길을, 불의한 자는 그의 생각을 버리고 여호와께로 돌아
오라. 그리하면 그가 긍휼히 여기시리라. 우리 하나님께로 돌아오라.
그가 너그럽게 용서하시리라.” (사55:7)

<강남 비전교회 / 한재욱 목사>

 

 

 

 

 

배너
배너


국민 목소리로 완성하는 민주당 ‘ 국민중심 사법개혁특위 ’ 사법권한 분산 및 신뢰 회복을 위한 ‘ 국민경청대회 ’ 개최
[아시아통신] 더불어민주당 국민중심 사법개혁 특별위원회 ( 위원장 백혜련 , 이하 사개특위 ) 는 오는 27 일 국회의원회관 제 1 소회의실에서 ‘ 사법권한 분산 및 신뢰 회복을 위한 국민경청대회 ’ 를 개최한다 . 이번 국민경청대회는 사법개혁 5 대 핵심 의제에 대해 국민의 목소리를 직접 청취하고 이를 개혁과제에 반영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되었다 . 특히 ,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 중 하나로 제시된 ‘ 사법개혁과 사법 신뢰 회복 ’ 의 실행 방안을 국민과 함께 모색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행사는 사법개혁특위 위원 전원이 함께하는 ‘ 국민과 함께하는 개혁 결의문 낭독 ’ 을 시작으로 국민대표의 발언이 이어진다 . 20 대 대학생 , 30 대 청년 , 40-50 대 일반 국민과 지방의원 , 전직 언론인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총 8 인의 국민대표가 자유 발언을 통해 사법제도와 관련한 문제의식과 개선 요구를 직접 제시할 예정이다 . 백혜련 위원장은 “ 이번 경청대회는 사법개혁의 주체가 국민임을 다시 확인하는 자리 ” 라며 , “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제도 개혁을 실현하기 위해 현장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겠다 ” 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