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펜에는 언제나 혁명을 이론적으로 기초하는 일만 남아 있다.
그러나(중략) 위대한 역사적인 사태를 일으킨 힘은, 과거부터 일컬어져
온 것처럼 직접 입에서 나온 ‘말의 마력’뿐이었다. 대다수의 민중은
특히 언제나 연설의 힘에 의해서만 움직여질 수 있다.”
아돌프 히틀러 저(著) 이명성 역(譯) 《나의 투쟁》 (홍신문화사, 63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아돌프 히틀러는 자신의 저술 《나의 투쟁》에서 이 세상에서 가장 위
대한 혁명들을 일으킨 힘은 펜의 힘이 아니라 ‘말의 힘’이었다고 단
언했습니다. 사람들은 선동하는 정치를 펼친 히틀러이기에 누구보다
말의 힘을 잘 알고 악마적으로 사용했습니다.

18세기 프랑스 혁명 시기에 전해지는 일화에 따르면, 마리 앙투아네트
왕비는 굶주린 백성의 딱한 사정을 듣고 “빵이 없으면 케이크를 먹으면
되지 않느냐”고 말했습니다. 이 오만한 한 마디는 민중의 분노에 기
름을 부었고, 결국 혁명의 불길은 왕실을 집어삼켰습니다.

물론 실제로 왕비가 그런 말을 했는지는 분명하지 않습니다.
사실 후대에 덮어 씌운 허위일 가능성이 훨씬 더 높습니다.
하지만, 이 일화는 민심이 지도자의 한마디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말 한 마디의 실언이나 오해가 역사의 흐름을 바꾸는 도화선이
될 수 있다는 교훈을 남긴 사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말은 의사소통 수단이 아니라 사람들의 마음과
사회의 방향까지 바꿀 수 있는 강력한 힘을 지녔습니다.

하나님은 ‘말’ 에 ‘치유하는 생명’까지 심어 놓으셨습니다.
“온순한 혀는 곧 생명 나무지만 패역한 혀는 마음을 상하게 하느니
라.” (잠15:4)
“선한 말은 꿀 송이 같아서 마음에 달고 뼈에 양약이 되느니라.”
(잠16:24)

이 두 구절에 나오는 ‘양약’과 ‘온순한’ 은 같은 히브리 단어로서
‘마르페’라고 합니다. 이 단어의 어원은 ‘치료’란 의미의 ‘라파’
입니다. 우리에게는 ‘여호와 라파’, 곧 치료하시는 하나님이라는
말로 잘 알려진 것입니다. 하나님은 이렇듯 ‘말’ 에 치료하는 힘을
불어 넣으셨습니다. 이것이 말의 힘입니다.

무엇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를 때가 있습니다.
그때는 믿음의 말, 소망의 말, 사랑의 말부터 시작하십시오.
이웃을 사랑할 때도 축복의 말부터 시작하십시오. 그러면 주님이 이
렇게 말씀하실 것입니다.
“네 믿음대로, 네 말대로 될지어다.”
<강남 비전교회 / 한재욱 목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