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영화와 소설

 

 

봉30.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이효석 문학관)">  김광부 기자 

 

“소설로 읽을 때는 내 멋대로 상상하던 인물이 영화에서는 배우의 얼

굴로 고정됩니다. 우리가 상상하던 공간 역시 미술감독의 뜻에 따라 재

현되고 그 안으로 제한됩니다. 이런 특성을 폴 오스터는 이차원과 삼차

원의 경험으로 비유하고 있습니다.”

 

김영하 저(著) 《말하다》(문학동네, 2015, 156쪽) 중에 나오는 구절

입니다.

 

봉25(보도).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이효석 문학관)">  김광부 기자 

 

영화의 감동과 아름다움은 헤아릴 수 없이 큽니다. 더군다나 디지털 기

술의 발달로 영화의 세계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그러나 소설도 여전히

장점이 있고 감동이 있습니다.  

 

봉28(보도).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이효석 문학관)">  김광부 기자 

 

“영화는 평면에 투사되는 이미지이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이차원이라는

것입니다(중략). 반면 소설은 평면이 아닌 삼차원적 공간,상상적 세

계로 우리를 안내합니다. 소설을 읽을 때마다 우리는 ‘지금,여기’가

아닌 ‘어딘가 다른 세상’에 가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봉32(보도).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이효석 와상)">  김광부 기자 

 

 그곳은 19세기 러시아의 궁정일 수도 있고,

뉴질랜드 근처의 무인도일 수도 있고,

플로리다의 어촌일 수도 있지만,실은 그 어느 곳도 아닌,우리 마

음속에서 스스로 만들어낸 가상의 공간일 뿐입니다.”(156쪽)

 

봉34(보도).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이효석 문학관)">  김광부 기자 

 

인공지능 기계는 점점 생각하고 있고, 사람은 생각을 잃고 있습니다.

잘 기억하지도 못하고, 긴 글을 집중해서 읽지도 못하고, 고요하게 사

색하지도 못하고, 상상력과 창의성은 약화 되고, 상황 판단의 능력마저

떨어져 가는 사람이 되어갑니다.

 

봉35.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문학관 전시실)">  김광부 기자 

 

 아날로그의 상징과 같은 ‘소설’은

이런 상황에 있는 우리에게 상상력을 더 해 줍니다. 그러기에 아무리

디지털이 발달해도 아날로그는 영원히 살아 있을 것입니다.

디지털 세계 속에서 신앙만큼은 더욱더 아날로그적이 되어야 합니다.

하나님께 무릎꿇어 묻고 또 묻고....

 

봉36.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문학관 전시실)">  김광부 기자 

 

“예수께서 힘쓰고 애써 더욱 간절히 기도하시니 땀이 땅에 떨어지는

핏방울 같이 되더라.” (눅22:44)

<강남 비전교회 / 한재욱 목사>

 

봉37.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문학관 전시실)">  김광부 기자

 

봉45(보도).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  김광부 기자 

 

봉47.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  김광부 기자 

 

봉50.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  김광부 기자 

 

봉58(보도).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  김광부 기자 

 

봉60(보도).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  김광부 기자 

 

봉63(보도).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  김광부 기자 

 

봉65(보도).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  김광부 기자 

 

봉76(보도).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  김광부 기자 

 

봉69.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  김광부 기자 

 

봉70(보도).jpg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가산 이효석 선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배경지 봉평">  김광부 기자 

 

 

 

배너
배너


김영옥 보건복지위원장, 『지역아동센터 중학생 위한‘서울런’지원』추진 적극 환영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영옥 위원장(국민의힘, 광진3)은 서울시가 오는 7월부터 지역아동센터 중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서울런’ 시범사업과 향후 사업 확대 계획에 대해 “교육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매우 의미 있는 정책”이라며 적극 환영의 뜻을 밝혔다. ‘서울런’은 취약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강의와 1대1 멘토링을 무료로 제공하는 서울시의 대표 교육복지 사업이다. 특히 이번 시범사업은 아동복지시설인 지역아동센터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간 멘토링과 학습 콘텐츠 개방, 전용 ID를 활용한 학습관리 기능 강화 등을 포함하고 있어 현장의 실질적 수요에 부응하는 조치로 평가받고 있다. 김영옥 위원장은 “교육에서 출발선의 차이는 곧 삶의 격차로 이어진다”라며, “서울런 대상 아동임에도 실제 이용률이 낮았던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이번 시범사업이 추진되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며, 실제 교육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김 위원장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농협의 민간 후원이 더해진 이번 사업은 민관 협력의 우수 사례로, 서울시 복지 정책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며, “시범사업 이후 전면적인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