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1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체스판과 쌀알

 

 

 

낙19.jpg

<전남 순천 낙안읍성,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낙안읍성 민속마을에 봄바람이 살랑인다">  김광부 기자

 

“체스는 6세기 인도 굽타 왕조에서 시작됐다. 당시 황제는 체스 발명

가에게 어떤 보상을 원하느냐고 물었다. 발명가는 체스판의 64개 칸을

기준으로 차례로 쌀알을 1,2,4,8,16 등 두 배씩 늘려달라고 했다.

황제는 별것 아니라고 생각했다. 체스판의 절반까지만 해도 쌀알 40억

개로 논 몇 마지기 분량이었다. 하지만 등비수열 공식을 적용해보면 최

종적으로 엄청난 숫자가 나온다. 2의 64승 -1로 1,800경 개에 해당한다.

에베레스트 산을 쌓고도 남는 규모다. 화가 난 황제는 발명가의 목을

베었다고 한다.”

 

조재우 기자, 「한국일보 ‘오피니언’」

2019년 04월 07일 기사 중에서 나오는 구절입니다.

 

낙2.jpg

<전남 순천 낙안읍성,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낙안읍성 민속마을에 봄바람이 살랑인다">  김광부 기자

 

‘체스판 위의 쌀알’이라는 이 우화는 디지털 기술 발전이 무서운 속

도로 진행될 때 종종 인용됩니다. 이야기의 결말은 문화마다 다른데,

하나는 왕이 발명가에게 전 재산을 빼앗겨 버린다는 결말이고, 다른 하

나는 왕이 발명가를 죽여 버린다는 결말입니다.

 

낙3.jpg

<전남 순천 낙안읍성,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낙안읍성 민속마을에 봄바람이 살랑인다">  김광부 기자

 

왕은 우리이고, 이야기 속 발명가는 우리가 만든 발명품입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주된 AI 제품은 스마트폰의 음성 조작 기능, 청소

로봇, 대화형 인공지능 스피커 등 IT・가전제품에 탑재되어 편이성을

높여주는 정도였습니다.

 

낙5.jpg

<전남 순천 낙안읍성,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낙안읍성 민속마을에 봄바람이 살랑인다">  김광부 기자

 

 그러나 인간과 사회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인공지능이 상용화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와 의료, 무기에

탑재되는 인공지능 등이 그것입니다. 이들 분야는 모두 AI의 판단이 인

간의 생사를 좌우하는 중대한 분야입니다. 그런 만큼 AI가 오작동이나

폭주를 일으킨다면, 최악의 경우 인간의 죽음으로 이어집니다.

 

낙9.jpg

<전남 순천 낙안읍성,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낙안읍성 민속마을에 봄바람이 살랑인다">  김광부 기자

 

인간이 만든 인공지능은 더 똑똑해지면서, 언젠가 인간의 지능을 앞지

르는 날이 올 수도 있는데, 그 시점을 ‘싱귤래리티(Singularity)’ 혹

은 ‘특이점’이라고 합니다. 인공지능이 인간보다 훨씬 더 똑똑해 질수

록, 인간은 인공지능에 더욱 의지하게 될 것입니다. 성도들도 하나님께

기도하지 않고 인공지능에게 물어 볼지도 모릅니다.

 

낙10.jpg

<전남 순천 낙안읍성,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낙안읍성 민속마을에 봄바람이 살랑인다">  김광부 기자

 

그렇게 되면‘체스판 위의 쌀알’우화처럼, 인간이 반드시 가지고 있

어야 할 결정권, 선택권을 모두 인공지능에게 맡겨 버릴 수도, 아니면

인공지능을 다 부셔 버릴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 두 극단적인 예로

가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 위험성은 있습니다.

 

낙13.jpg

<전남 순천 낙안읍성,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낙안읍성 민속마을에 봄바람이 살랑인다">  김광부 기자

 

막강한 힘을 가져가는 인공지능을 올바로 제어하는 전문성, 그리고 인

공지능을 선하게 사용하는 인간의 도덕성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는 시대

입니다. 그리스도인의 시대적 사명이 중대해 집니다.

 

“너희는 세상의 빛이라.” (마5:14)

<경건 메일 / 한재욱 목사>

 

낙16.jpg

<전남 순천 낙안읍성,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낙안읍성 민속마을에 봄바람이 살랑인다">  김광부 기자

 

낙17.jpg

<전남 순천 낙안읍성,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낙안읍성 민속마을에 봄바람이 살랑인다">  김광부 기자

 

배너
배너

최대호 안양시장, 올해 첫 안양학 특강 성결대서 시작
[아시아통신] 안양시는 29일 오후 1시 성결대학교 영암관에서 최대호 안양시장이 ‘청년희망도시 안양’를 주제로 2025년도 첫 안양학 특강을 진행했다고 30일 밝혔다. 안양학은 안양의 역사와 문화, 산업, 청년정책 등을 폭넓게 다루는 지역학 교양과정으로, 2019년 안양시 정책공모전에서 ‘안양사람이 대학생에게 전하는 안양이야기, 안양학개론’이 수상하며 출범했다. 이번 성결대 강연에서 최 시장은 “청년이 머물고 싶은 도시, 청년이 꿈꿀 수 있는 도시를 만드는 것이 안양시의 목표”라며 “청년의 열정이 곧 도시의 경쟁력이며, 안양은 그 열정을 실현할 무대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또 ‘불요기(不要棄), 불요파(不要怕), 불요회(不要悔)’, 즉 포기하지 말고, 두려워하지 말고, 후회하지 말라는 세 가지 메시지를 전하며 “한계는 스스로 정하는 것이고 크게 생각할수록 크게 이룰 수 있다”며 청년들에게 도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그는 안양청년창업펀드를 통해 코스닥에 상장한 기업과 안양산업진흥원의 지원을 통해 성장한 청년 창업가 등 실제 성공사례를 소개하고, 시가 추진 중인 청년정책과 일자리・주거・문화 지원사업을 설명했다. 최 시장은 “청년과 도시가 함께 성장하

수원특례시, 외국인투자자 초청해 투자유치설명회 열고 수원경제자유구역 홍보
[아시아통신] 수원특례시(시장 이재준)가 외국인 투자자를 초청해 투자유치설명회를 열고, ‘수원경제자유구역’을 홍보했다. 수원시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주관하는 ‘Invest KOREA Summit 2025(인베스트 코리아 서밋 2025)’에 참가한 외국인 투자자들을 29일 수원으로 초청해 현장 IR(투자설명회)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먼저 수원컨벤션센터에서 투자유치설명회를 열고, 수원시의 우수한 첨단산업·R&D(연구&개발) 인프라와 투자정책, 성장 잠재력 등을 소개했다. 김현수 수원시 제1부시장은 환영사에서 “반세기 전 삼성전자가 첫 연구소를 세운 수원은 대한민국 산업의 뿌리이자 미래를 설계하는 도시”라며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산업 핵심 기업·연구 기관이 집적돼 있고, 기업·대학·연구소·스타트업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혁신 생태계가 형성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지정을 추진하고 있는 수원경제자유구역은 외국인과 함께 성장하는 글로벌 협력의 거점이 될 것”이라며 “외국계 기업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성공적으로 사업을 확장할 수 있는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투자유치설명회 후 외국인 투자자들은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