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뉴스

코로나19, 대전 확진자 치료 중 사망자 발생

13명 사망, 총 353명째

 

 

 아시아통신 최태문 기자 | 대전시는 코로나19 대전 거주 확진자 중 13명(341~353번째)의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23일 밝혔다.

 

 

341번째로 사망한 장○○(89세, 남)는 지난달 20일 확진 판정을 받은 이후, 세명요양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 지난달 24일 사망했다.

 

 

342번째로 사망한 오○○(98세, 남)는 지난 4일 확진 판정을 받은 이후, 대전웰니스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 지난 10일 사망했다.

 

 

343번째로 사망한 차○○(91세, 남)는 지난 3일 확진 판정을 받은 이후, 대전웰니스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 지난 21일 사망했다.

 

 

344번째로 사망한 박○○(97세, 여)는 지난 8일 확진 판정을 받은 이후, 대전웰니스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 지난 18일 사망했다.

 

 

345번째로 사망한 정○○(65세, 남)는 지난 11일 확진 판정을 받은 이후, 자택에서 요양 중 지난 16일 사망했다.

 

 

346번째로 사망한 박○○(87세, 여)는 지난 11일 확진 판정을 받은 이후, 자택에서 요양 중 지난 14일 사망했다.

 

 

347번째로 사망한 육○○(80세, 남)는 지난 14일 확진 판정을 받은 이후, 대전웰니스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 지난 20일 사망했다.

 

 

348번째로 사망한 조○○(89세, 여)는 지난 15일 확진 판정을 받은 이후, 대전웰니스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 지난 19일 사망했다.

 

 

349번째로 사망한 안○○(81세, 남)는 지난 15일 확진 판정을 받은 이후, 대전웰니스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 지난 19일 사망했다.

 

 

350번째로 사망한 이○○(91세, 남)는 지난 16일 확진 판정을 받은 이후, 대전웰니스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 지난 20일 사망했다.

 

 

351번째로 사망한 임○○(75세, 여)는 지난 17일 확진 판정을 받은 이후, 새봄요양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 지난 20일 사망했다.

 

 

352번째로 사망한 김○○(83세, 남)는 지난 15일 확진 판정을 받은 이후, 충남대학교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 지난 19일 사망했다.

 

 

353번째로 사망한 이○○(64세, 여)는 지난 19일 확진 판정을 받은 이후, 충남대학교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 지난 20일 사망했다.
배너
배너


김영옥 보건복지위원장, 『지역아동센터 중학생 위한‘서울런’지원』추진 적극 환영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영옥 위원장(국민의힘, 광진3)은 서울시가 오는 7월부터 지역아동센터 중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서울런’ 시범사업과 향후 사업 확대 계획에 대해 “교육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매우 의미 있는 정책”이라며 적극 환영의 뜻을 밝혔다. ‘서울런’은 취약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강의와 1대1 멘토링을 무료로 제공하는 서울시의 대표 교육복지 사업이다. 특히 이번 시범사업은 아동복지시설인 지역아동센터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간 멘토링과 학습 콘텐츠 개방, 전용 ID를 활용한 학습관리 기능 강화 등을 포함하고 있어 현장의 실질적 수요에 부응하는 조치로 평가받고 있다. 김영옥 위원장은 “교육에서 출발선의 차이는 곧 삶의 격차로 이어진다”라며, “서울런 대상 아동임에도 실제 이용률이 낮았던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이번 시범사업이 추진되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며, 실제 교육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김 위원장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농협의 민간 후원이 더해진 이번 사업은 민관 협력의 우수 사례로, 서울시 복지 정책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며, “시범사업 이후 전면적인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