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6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무주군, 숨어있는 향토문화유산 발굴 착수

마을의 자긍심과 문화인식 심어주기 위한 취지

 

 

 아시아통신 최지은 기자 | 무주군이 숨어있는 향토문화유산 발굴에 들어갔다. 각 마을에 잠재돼 있는 향토문화유산을 발굴해 마을의 자긍심과 문화인식을 심어주기 위한 취지다.

 

 

무주군에 따르면 다음달 4일까지 향토문화유산 지정을 위한 신청서를 개인 및 단체를 대상으로 접수 받는다.

 

 

지정 대상은 국가‧전라북도 문화재로 지정‧등록되지 않은 무주군 지역내 소재한 비지정 문화재로 보존·보호·관리할 가치가 있는 유형·무형·기념물·민속자료 등의 문화유산이다.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될 경우 군에서는 향토문화유산 안내판을 설치할 계획이다.

 

 

앞서 군은 지금까지 개인과 단체를 상대로 신청∙접수해 육영재(무풍, 현종 15년(1849) 흥양 이씨 문중에서 자녀들을 인재로 길러 내기 위하여 건립한 교육기관)를 비롯해 유경제 효자각(무주읍 당산리, 고종 24년(1887년) 조정에서 정려하고 동몽교관으로 증직함), 삼공리 월음령계곡(설천면, 제철유적)등 모두 10여개 향토문화유산을 발굴하고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한 바 있다.

 

 

군은 신청서와 구비된 자료들을 토대로 역사적 가치와 보존상태 등을 검토해 보존·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건에 대한 선정 절차를 진행한다.

 

 

1차 신청서 서류심사 및 서면 검토 후 2차 무주군 향토문화유산위원회 최종 심의를 거쳐 지정을 결정한다.

 

 

군은 최종 심의결과를 토대로 30일간 지정 예고를 한 뒤 향토문화유산으로 고시할 예정이다.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문화유산은 안내판 설치 등을 통해 주민들에게 그 가치를 알리고, 연 1회 이상 정기점검으로 훼손되지 않게 소유주와 함께 관리할 계획이다.

 

 

또한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고 평가된 문화유산은 향후 국가‧전라북도 문화재로 지정‧등록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문화유산을 소유하고 있는 주민 또는 단체는 무주군 문화체육과나 읍·면에 방문해 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문화체육과 김정미 과장은 “문화유산을 보호하고 관리하는 것은 과거와 현재, 미래를 이어주기 위해 필요한 가교 역할”이라며 “무주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역사문화자원을 지속적으로 발굴‧확대해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광주시의회, 제319회 임시회 폐회…1조 9천억 추경·36건 안건 처리, 교통·복지·교육 등 민생 현안 해결 촉구
[아시아통신] 광주시의회는 지난 15일 제319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를 끝으로 7일간의 회기 일정을 마무리했다. 이번 임시회에서는 총 1조 9,261억 원 규모의 2025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을 비롯해 제2차 기금운용계획 변경안, 각종 조례안 및 동의안 등 36건의 안건을 심의·의결하며 시정 현안 해결을 위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됐다. 이번 회기에서 가결된 주요 조례로는 아동 통합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드림스타트 운영 조례안', 안전한 숲길 조성과 관리 근거를 마련한 '숲길 지정 및 관리 조례안', 빗물받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해 침수피해를 예방하는 '빗물받이 관리 조례안', 소상공인 지원 범위를 확대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소상공인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등이 있다. 이를 통해 복지, 안전, 지역경제 등 시민 생활과 직결된 제도적 기반이 한층 강화됐다. 본회의에서는 교통·복지·안전 등 민생 현안이 시정질문을 통해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어르신 대중교통비 지원 제도의 조속한 도입과 고령 사회에 맞춘 교통 복지 확대가 시급하다는 점이 강조됐으며, 도로개설 사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장물 관리 체계 확립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