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8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뉴스

충북도, 충북형 지역균형뉴딜 재편 ‘2.0’으로 새롭게 출발

12대 추진전략 설정, 29개 과제 신설

 

 

 아시아통신 김성연 기자 | 충북도는 ‘충북형 지역균형뉴딜’ 추진 1주년을 맞이해 지난 1년간의 성과를 되돌아보고, 급변하는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충북형 지역균형뉴딜 2.0’을 추진한다.

 

 

충북도는 2020년 12월,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고 디지털․그린 경제로의 전환을 위해 ‘충북형 지역균형뉴딜’을 발표하고 추진했다.

 

 

도는 지난 1년간 충분한 마중물 재정투자로 변화의 동력을 확보했다. 총 110개 사업에 1조 8,228억원의 재정을 투자(’21년까지 투자계획 대비 91.4%)했고, 전략적 공모 대응으로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 119항공정비실 등 42개 사업이 공모에 선정돼 국비 3,499억원을 적기에 확보, 속도감 있는 뉴딜 사업을 추진했다.

 

 

또한 행정안전부에서 주관하는 지역균형뉴딜 우수사업 공모에 ‘스마트 의료플랫폼 시범모델’ 사업이 최종 선정돼 특별교부세 30억원도 확보했다.

 

 

특히, 이차전지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지정,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예타 통과, 청주에어로폴리스 3지구 산단 지정, K-반도체 벨트 및 그린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 지정 등 미래산업 혁신성장의 토대를 구축해 K-배터리, K-반도체, K-모빌리티, K-바이오 등 미래사회를 위한 국가 전략산업의 중심지로 급부상했다.

 

 

전 세계 주요국이 코로나19로 가속화된 디지털 경제와 비대면 산업을 선점하기 위해 투자를 확대하고 있고, 우리 정부도 전 세계적인 디지털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하고, 글로벌 뉴노멀로 정착한 탄소중립을 전략적으로 활용,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7월 ‘한국판뉴딜 2.0’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도는 디지털 가속화․탄소중립 등 글로벌 이슈와 국가 뉴딜 재편에 대응하고자 ‘충북형 지역균형뉴딜’을 ‘2.0’으로 새롭게 재편했다.

 

 

‘충북형 지역균형뉴딜 2.0’은 기존의 디지털, 그린, 휴먼, 공간뉴딜 4대 분야로 종전 체계를 유지했다. ‘디지털, 그린, 휴먼뉴딜’은 ‘한국판 뉴딜 2.0’ 체계로 정부와의 협업 및 선제적 대응을 위해 정부와 평행을 유지하고, ‘공간뉴딜’은 수도권․경부축에 대응하는 ‘신성장축 건설’과 미래산업을 뒷받침할 ‘과학기술 혁신공간’ 창출을 내용으로 현 체계를 유지했다.

 

 

이번 충북형 뉴딜 2.0은 ‘한국판뉴딜 2.0’과 연계한 신규사업을 발굴하고 기존사업은 확대․보완했다. 기존 뉴딜의 분야별 전략을 개편하고 초연결 및 탄소중립 신산업, 청년정책․혁신인재양성 등 최근 이슈를 반영했다.

 

 

12대 전략, 29개 과제(신설), 256개 사업을 추진하며, 2025년까지 총 17조 5,217억원의 재정을 투입할 계획으로 기존 뉴딜보다 72개 사업, 5조 9,499억원이 증가한 규모이다.

 

 

분야별로는 디지털 94개 3조 717억원, 그린 83개 5조 6,846억원, 휴먼 56개 9,597억원, 공간 23개 7조 8,057억원이다.

 

 

분야별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난 1년의 뉴딜이 기반을 다지는 단계였다면, 올해부터는 디지털․그린 뉴딜 고도화를 통해 미래산업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글로벌 디지털․그린 강도(强道)로 도약하는 한편, 청년맞춤형 지원과 취약계층 격차 해소를 통해 도민이 체감하는 복지체계를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충북도 관계자는 “2021년도는 이차전지 소부장 특화단지, K-반도체 벨트 및 그린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 지정 등 미래산업 성장가도의 궤도 기반을 마련했다.”라며, “글로벌 경쟁과 정부정책에 대응한 충북형 뉴딜 2.0을 차질없이 추진해 미래사회를 선도하는 일등경제 충북 실현에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출량 프로그램 개발’ 안양시 환경정책과 주무관, 제5회 적극행정 유공 근정포장 영예
[아시아통신] 환경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업무를 수행해 온 안양시 환경정책과 임동희 주무관(환경 7급)이 행정안전부와 인사혁신처가 공동 주관한 ‘제5회 적극행정 유공 정부포상’에서 근정포장을 받는 영예를 안았다. 임 주무관은 수질오염총량제 시행에 따라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배분을 둘러싸고 안양천 권역 5개 지자체 간의 갈등이 지속되자, 산정프로그램을 자체 개발해 3억2000여만원의 예산 절감 효과를 거뒀다. 해당 산정프로그램을 통해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배출량 분석 및 배분이 이뤄질 수 있게 되면서, 지자체들은 오랜 갈등을 끝내고 2021년 12월 안양천 수질관리를 위한 협약을 맺고 상호 협력키로 했다. 이는 배출량을 둘러싸고 전국 여러 지자체가 서로 대립하는 상황에서 최초로 갈등을 해결한 수질오염총량제의 성공적 모델로 평가받았다. 임 주무관은 이 밖에도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비점오염원 관리지역 지정, 물순환 계획수립 등 환경개선에 기여해 안양시 적극행정 우수공무원 2년 연속(2022~2023년) 선발, 범정부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 대통령상(2022년), 경기도 공공갈등관리 혁신 우수사례 경연대회 우수상(2023년) 등을 수상한 바 있다. 최대호 안양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