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6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뉴스

찾아라! 경북행복마을 46호 및 영덕군 자원봉사 행복마을만들기 13호 탄생

영해면 대진3리 행복마을 만들기 사업 통해 생활여건 개선

 아시아통신 최지나 기자 | 영덕군종합자원봉사센터는 지난 20일 영해면 대진3리에서 5개 기관·단체와 마을리더들이 참석한 가운데 자원봉사 행복마을 만들기 13호 사업의 현판식을 가졌다.

 

 

자원봉사 행복마을 만들기사업은 자원봉사자들의 재능기부와 마을주민들의 참여를 통해 마을의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마을공동체의 유대감 증진하고 생활여건을 개선하는 마을 재생사업으로, 이번에는 경상북도종합자원봉사센터에서 지원하는 “찾아라! 경북 행복마을 46호”와 함께 진행되어, 더욱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사업들로 진행하였다.

 

 

센터는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비대면 사업들을 중심으로 하여 지난 11월부터 기관·단체의 적극적인 협조 속에 마을주민들을 대상으로 마을리더간담회와 분야별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이어 이번 사업에 참여한 기관·단체들은 마을리더들과 함께 감사한캘리그라피봉사단봉사단·고불봉청소년봉사단·영덕준법지원센터에서 ‘마을 벽화그리기’, 전국모범운전자회 영덕군지회 ‘58가구 문패달기’, 대한적십자사 영덕지구협의회 ‘어르신 50가구 반찬만들어 나누기’, 대구경북가스공사 ‘세대별 소화기 설치’, 경상북도개발공사 ‘태양광 벽부등 부착’, 주거환경개선활동의 일환으로 저소득층 가구의 노후된 싱크대 및 도배교체 등 다양한 재능나눔 활동을 전개해 마을의 단합을 이끌고 보다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드는데 일조했다.

 

 

대진3리 한영태 이장은 “영덕군자원봉사센터를 비롯해 자원봉사 행복마을만들기 사업에 참여해주신 기관·단체의 자원봉사자 분들의 헌신적인 활동 덕분에 대진3리 마을의 근심이었던 파도벽이 아름다운 벽화로 채워지고, 마을 곳곳에 자원봉사자의 손길로 행복한 마을로 새롭게 태어난 것 같다”며 감사인사를 전했으며

 

 

자원봉사센터 김명기 소장은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참여해주신 대진3리 마을대표님과 마을리더분들 그리고 열정적으로 재능을 기부해주신 기관·단체의 자원봉사자 덕분에 순조롭게 사업을 진행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봉사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쳐 지역의 나눔문화를 널리 확산시킴으로써 희망이 있는 영덕을 만드는데 힘을 보태고 싶다”는 바람을 전했다.
배너
배너


최호정 의장, 국회의장 만나 지방재정 강화 ․ 지방의회법 논의
[아시아통신] 최호정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회장(서울시의회 의장)은 24일(수) 국회-지방의회 라운드테이블에서 우원식 국회의장을 만나 지방재정 강화와 지방의회법 제정을 논의했다. 국회-지방의회 라운드테이블은 국회가 이틀간 진행하는 ‘2025 국회 입법박람회’ 프로그램으로, 이날 최호정 의장을 비롯해 전국 시․도의회 의장과 부의장 12명이 참석해 현안을 공유하고 국회와 지방의회의 협력을 모색했다. 최호정 의장은 “30년 전 지방자치가 본격 실시된 1995년에 지방정부 세입 중 66%, 즉 3분의 2가 지방세 등 자체 수입이었는데, 지금은 자체수입이 37%, 3분의 1 수준으로 나머지 3분의 2는 중앙정부가 주는 교부세와 보조금 그리고 지방채 등 빚으로 충당하고 있다”라며, “재정 측면에서 지방자치는 30년 간 후퇴했다. 지방정부가 주민의 복리 증진을 고민하고 실천하는 주민에 의한 자주적 존재가 아니라 중앙정부의 하청기관으로 전락해 가는 실정”이라고 지방자치가 처한 현실을 전했다. 이어 최 의장은 “현재 지방소비세율 조정, 지방소득세 개편 등 국민의 세금 부담을 늘리지 않으면서 지방재정 확충을 위한 다양한 논의가 제기되고 있다”라며, 국회의 입법적인 결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