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뉴스

경남도, 2021 경남항공부품 수출 활성화 워크숍 개최

해외 항공시장 흐름 및 수출전략 정보 교류의 장 마련

 아시아통신 김지민 기자 | 경상남도는 23일 경상남도 테크노파크 항공우주센터에서 '2021년 경남항공부품 수출 활성화 워크숍'을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해외 항공시장 흐름과 수출전략 정보를 교류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최된 이 날 행사에는 경상남도, 진주시, 사천시. 고성군을 비롯하여, 한국항공우주산업, ㈜율곡 등 15개 사, 경남테크노파크, 경남도립남해대학 등 경남 항공 관련 산·학·연·관 관계자가 한자리에 모였다.

 

 

국민대 윤용현 교수, 경남tp 이은균 단장, kai 이광수 팀장, 경상대 전정환 교수 등 항공 관련 전문가 4명이 ‘미래 항공 모빌리티 산업 전망’, ‘경남 항공 중소기업 수출 활성화 방안’, ‘kai 협력사 품질경영역량 및 고도화 체계 구축 추진’, ‘경상대학교 기술경영과정 소개’를 주제로 강연한 후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참여한 기업들은 미래항공산업의 전망을 예측하고, 경남도에서 추진하는 수출 지원사업 관련 정책을 공유하고, 경남 항공기업 간 상호이해 증진을 도모할 수 있었다.

 

 

행사를 주최한 조여문 경남도 제조산업과장은 “단계적 일상회복을 맞아 이번 수출 활성화 워크숍을 대면 개최해 산·학·연·관이 깊게 교류하는 장이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라며 “경남도에서는 앞으로도 우리 도내 항공 중소기업들의 수출 확대를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행사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을 준수하면서 진행되었다.
배너
배너

오 시장, "백사마을 사회통합 상징공간으로 재탄생"… 3178세대 차질없이 공급
[아시아통신] 오세훈 서울시장이 9일(화) 오전 10시, 서울의 마지막 판자촌으로 불렸던 노원구 중계동 ‘백사마을(노원구 중계본동 30-3번지 일대)’을 방문해 철거상황을 점검하고 차질없는 주택공급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백사마을은 1960년대 도심 개발로 청계천‧영등포 등에서 살던 철거민 1,100여 명이 불암산 자락에 정착하면서 형성된 곳이다. 지난 2009년 재개발정비구역으로 지정된 후 2012년 국내 최초 주거지보전사업으로 추진되었으나 분양주택과 임대주택 분리 이슈와 열악한 지역 여건으로 인한 낮은 사업성, 사업자 변경 등을 겪으며 16년간 답보 상태였다. 주거지 보전은 저층 주거지 등 동네 일부를 보존하고 아파트와 주택을 결합하는 형태 재개발이다. 하지만 최근 공사비 급등으로 낮아진 사업성을 끌어올리는 게 관건이 됐다. <주거지보전용지→공동주택용지, 사업성 보정계수, 용도지역 상향 등 사업성 대폭 개선> 이에 서울시는 SH와 함께 걸림돌로 작용했던 ‘주거보전용지’를 ‘공공주택용지’로 변경하고, 분양주택과 임대주택에 대한 소셜믹스로 세대통합, 사업성 보정계수 적용, 용도지역 상향 등 과감한 규제 혁신을 통해 사업성을 대폭

정준호 시의원, 서울시 마을버스 관리구조 전면 재검토 촉구
[아시아통신] 최근 마을버스 업체들이 경영난을 호소하며 재정지원 확대를 요구하는 가운데, 서울시의 관리 책임 부족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서울특별시의회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 은평4)이 제332회 임시회 교통실 업무보고에서 “구청 위임사무에 대한 서울시의 충분한 관리·감독 부재로 마을버스 재정지원 사업의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예산을 투입하면서도 지원 대상 업체의 경영 건전성을 점검하지 않는다면 재정지원이 제 역할을 할 수 없다”며 “재정지원이 공공성을 확보하려면, 책임 있는 관리·감독 체계 확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준호 의원에 따르면 서울시는 2024년 한 해 동안 91개 마을버스 회사에 총 361억 원을 지원했다. 이 가운데 10억 원 이상 대여금을 보유한 10개 회사가 28억 6,800만 원을 지원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부 회사는 자산의 90% 이상을 대표이사·주주·친인척에게 대여금 형태로 처리한 정황도 확인됐다. 정 의원은 문제의 근본에 사무위임 구조의 허점이 자리한다고 말한다. 「서울특별시 사무위임 조례」에 따라 마을버스 운송사업 등록·사업정지·과징금 부과 등의 관리 권한은 자치구에 위임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