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뉴스

우리의 옷이 옷장을 떠나서 어디로 갈까…서울시, 지속가능한 윤리적 패션 방향 찾는다

시, ‘지속가능한 윤리적 패션’ 위한 온라인 세미나 개최…환경·인간·공동체 위한 패션 방향 고민

 아시아통신 김지민 기자 | 우리의 옷이 옷장을 떠난 이후, 어디로 가게 될까.

 

 

서울시는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는 의류폐기물에 대한 해결방안과, 이를 위한 대안으로 주목되는 ‘지속가능한 소재’의 발전 가능성을 짚어보는「지속가능한 윤리적 패션」세미나를 11월 23일과 12월 7일, 2회에 걸쳐 온라인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지속가능한 패션산업 육성을 위해 지속가능한 윤리적 특성을 가진 패션 브랜드의 성장을 위한 마케팅, 판로개척, 사무공간 제공, 교육·컨설팅, 홍보 등을 지원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윤리적 패션이란 소재, 생산, 판매과정에서 단순히 환경을 생각하는 것을 넘어 환경과 인간, 그리고 사회 공동체를 고려하는 패션을 의미한다.

 

 

11월 23일 오전 11시부터는 “우리의 옷이 옷장을 떠난 이후 – 의류폐기물의 미래”라는 주제로 1차 온라인 세미나가 진행된다. 눈에 보이지 않아 인식하지 못했던 의류 폐기물에 대한 현황과 문제를 소개하고, 정부·기업·소비자가 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한다.

 

 

첫 번째 세미나에서는 환경다큐 PD, 지속가능 패션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며, 최대한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기 위해 온라인 세미나에 실시간으로 질문과 댓글 참여가 가능하다.

 

 

12월 7일 15시에 진행되는 두 번째 온라인 세미나는 ‘Soul Thread – 지속가능한 소재의 진정성에 대하여’ 주제로 진행된다. 지속가능성을 지닌 소재 전문가와 브랜드를 운영하는 대표들이 참여해 지속가능한 소재의 현황과 가능성, 발전 방향을 나누며, 이 영상은 ‘지속가능 윤리적 패션허브’ 유튜브 채널을 통해 송출된다.

 

 

이번에 진행하는 온라인 세미나의 세부내용은 ‘지속가능 윤리적 패션허브’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와 홍보 포스터 QR코드를 통해 사전참가등록이 가능하다.

 

 

세미나는 ‘지속가능 윤리적 패션허브’ 유튜브(채널명 : Sustainable Ethical Fashion)를 통해 진행된다.

 

 

온라인 세미나 진행 기간 동안, 사전참가등록, 유튜브 댓글 참여, 한줄평 남기기 이벤트를 진행하며, 추첨을 통해 커피쿠폰을 증정한다.

 

 

안형준 서울시 제조산업혁신과장은 “많은 시민이 이번 지속가능한 윤리적 패션 온라인 세미나를 통해 의류산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지속가능 윤리적 패션 산업에 대해 이해하고 동참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서울시, 건축심의 대상 60% 축소·조건부과 금지… '규제철폐 23호' 시행
[아시아통신] 서울시는 자치구 건축 심의에서 법령 근거 없이 과도하게 지정됐던 심의 대상을 축소하기 위해 ‘건축위원회 운영기준’을 전면 개정하고 10월 10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서울시 건축위원회 운영기준 개정은 지난 1월 규제풀어 민생살리기 대토론회에서 제기된 ‘규제철폐 23호’ 과제를 본격적으로 실행에 옮긴 것으로, 과도한 심의로 인한 시민불편과 재산권 침해를 해소하기 위해 불필요한 절차와 비용을 줄여 권익을 보호하고 건설경기를 살리기 위한 조치다. 그동안 일부 자치구에서 자체 방침으로 심의 대상을 확대하거나 법령 근거가 부족한 조건을 요구하는 사례가 있었다. 이 때문에 시민들이 불필요한 절차와 비용을 감수해 민간 사업자의 사업 추진에도 제약이 많았다. 특히 재개발 구역에서 해제된 지역에 건물을 지을 때도 관례적으로 심의를 받아야 해서 재산권 행사에 어려움이 있었다. 서울시는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고 심의의 공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 2월부터 25개 자치구와 협의를 진행했다. 자치구별 특수성을 일부 반영하되 지역 경관 개선, 주거환경 보호 목적 외에는 심의 대상에서 제외하도록 협의했으며, 자치구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 속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