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소비자 물가가 빠른 경제회복과 주요 원자재 및 부품의 공급망 교란 탓에 치솟고 있다. 미노동부는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4,2%올 랐다고 12일(현지시간) 밝혔다. 지난 2008년 9월이후 13년 만의 최대 상승폭이다. 이 같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당초 다우존스와 블룸버그통신등이 전문가들을 통 해 구한 예상치 3,6%와 4,0%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이다. 특히 변동폭이 높은 에너지, 식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 물가'는 3월보다 0,9% 상승하면서 시장전망치보다 0,3% 앞질렀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전월대비 0,9%의 근원CPI 상승률은 1982년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이다. 블룸버그는 중고차 가격이 역대급으로 치솟는 가운데 거 의 전 분야에 걸쳐 물가가 큰 폭으로 뛰어 오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같은 소비자 물가 급 상승은 코로나 대유행 때인 지난해 4월 미 형전부와 방역 당국이 전 국민 의 자택대피명령을 내림으로 인한 '심리적 충격'과 불안감, 대부분의 상범과 관공서 등이 문을 닫아야 했던 '억압감'등에 의한 '기저효과'가 경제회복 진행 과정에서 반발심리를 자극한 때문인 것으로 전문가들은 풀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