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16.7℃
  • 구름조금강릉 15.3℃
  • 맑음서울 18.7℃
  • 구름많음대전 17.9℃
  • 구름조금대구 19.8℃
  • 구름조금울산 17.7℃
  • 맑음광주 20.0℃
  • 구름조금부산 19.3℃
  • 맑음고창 18.7℃
  • 맑음제주 20.2℃
  • 구름조금강화 16.2℃
  • 구름많음보은 17.6℃
  • 구름조금금산 17.9℃
  • 맑음강진군 20.5℃
  • 맑음경주시 19.0℃
  • 구름조금거제 17.8℃
기상청 제공

코로나 지원재정 200조 쌓아놓고 ‘50%도 못써’ 왜?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추락을 막겠다는 목적아래 금융지원자금 200조원을 서둘러 마련했다. 여기까지는 시의적절했고 당연히 정부가 해야할 긴급상황에 열의를 보인 것 으로 평가 받을 만하다. 그런데, 1년이 넘도록 이렇게 마련한 ‘돈’의 절반 이상이 금고에서 낮잠을 자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부는 늘 ‘경제는 타이밍’임을 강조해 왔는데 아직 우리의 경제 상황 등이 이 돈을 써야할 정도가 아니라고 보고 있는 것일까? 기간산업안정자금(기안자금)의 경우, 마련한 지원자금 중 1%대 집행에 머물고 있다는 것은 어떤 까닭인지 많은 경제인들이 의아해 하고 있다. 19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해 2월 7일부터 올 3월 5일까지 총 195조원에 달하는 ‘코로나 금융지원 패키지 프로그램’을 준비했고, 이중 49,3%에 해당하는 96조 2,000 억원을 집행했다. 절반 이상을 쓰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정부의 금융지원프로그램은 △소상공인대상 긴급 경영자금 43조 7000억원 △중소*중견 대출*보증지원자금 37조8000억원 △금융시장안정화 자금 73조 5000억원 △기간산업안정 자금 40조원 등 4가지이다. 이 가운데, 소상공인 대상지원금은 36조원이 나가 집행률 82,3%를 기록했고, 중소*중견기업 대출 및 보증은 37조 2000억원으로 집행률 98,5%에 달했 다. 이 두 프로그램은 대부분 국책은행이나 시중은행을 통해 대출과 보증 형식으로 운용돼 순조롭게 진행됐다. 반면, 기안자금은 겨우 6,198억원이 집행, 집행률 1,5%에 머물렀고, 금융시장안정화 프로그램은 22조 7,000억원으로 집행률 30,9%에 그쳤다. 지난해 5월 출범한 40조원 규모의 기안기금이 실제로 집행 된 곳은 아시아나 항공 3,000억원, 제주항공 321억원, 기간산업협력 업체 2,877억원이 전부이다. 1,5%만 활용되고 나머지 95%는 아직까지 ‘취침 중’이라는 것이다. 4개 구분 중 금융시장 안정화 프로그램은 크게 ①채권시장 펀드 ②증권시장안정펀드③ 저신용등급 회사채 및 기업어음(cp)매입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세가지 목적을 위해 50조 7000억원이 조성됐는데 쓴 돈은 10% 내외이다. 총괄적으로 볼 때, 정부가 코로나 19와 관련하여 어렵사리 마련한 200조원의 금융지원 자금은 코로나 19 상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과 산업부문, 자영업자를 포함한 민생 경제의 활성화 등을 위해 가장 효율적으로, 가장 '타임리히트'하게 활용해야 마땅하다. 그럼에도 코로나19의 장기화 속에 기(旣)조성된 자금 중 절반 이상이 용도에 쓰여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분명한 문제가 있다. 따지고 보면 이 재정은 국민의 혈세(血稅)요, 우 리 2세들이 걸머져야 할 '짐'이기도 하다는 점을 기억했으면하는 바램이다.
배너
배너

오세훈 시장, 4일(화) ‘2025 사랑의 희망박스 박싱데이’ 참석 “약자‧동행특별시 서울 실현위해 시민사회, 기업 등과 협력체계 더욱 강화”
[아시아통신] 오세훈 서울시장은 4일(화) 오전 10시 청계광장에서 열린 ‘2025 사랑의 희망박스 박싱데이’에 참석해 기부에 참여한 기업과 단체에 감사의 뜻을 전하고, 소외계층 전달할 선물박스를 직접 포장하며 행사의 의미를 기렸다. 이날 행사에는 오세훈 서울시장을 비롯해 이영훈 굿피플인터내셔널 이사장, 조남권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조남권 사무총장 등이 참석했다. ‘사랑의 희망박스’는 굿피플이 주관하는 14년간 이어온 나눔운동으로, 매해 저소득가정과 홀몸 어르신, 한부모가정 등 어려운 이웃에게 따뜻한 겨울나기를 돕는 식료품과 생필품을 포장해 전달하는 행사다. 올해 희망박스에는 즉석밥, 햄, 죽, 미역국 등 16종이 담겼다. 기부물품 규모는 약 25억 원으로 CJ제일제당이 동참했다. ‘박싱데이’는 크리스마스 다음 날인 26일을 일컫는 말로 곡물, 과일 등을 상자에 담아 주변 어려운 이웃에게 선물하는 관습에서 유래된 말이다. 오 시장은 “사랑의 희망박스에 담긴 따뜻한 마음과 희망이 누군가에게는 온기가 되고 다시 일어설 용기가 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복지 사각지대를 세심하게 살피고 어려운 이웃이 소외되지 않는 ‘약자 동행 특별시 서울’을 실현하기 위해 시민사회, 기

박석 의원, 文정부 답습하는 李정부 부동산 대책...시민 주거 불안만 가중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 박석 의원(국민의힘, 도봉3)은 4일(화) 열린 서울시 주택실 행정사무감사에서,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과거 문재인 정부의 실패를 답습하며 서울시민의 주거 불안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과거 문재인 정부는 8.4대책, 2.4 대책으로 대규모 주택 공급을 약속했지만, 4년이 지난 지금 8.4 대책 신규택지 21곳 중 착공은 단 2곳, 2.4 대책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은 착공 실적이 전무하다”며 “공급 실패가 ‘패닉바잉’과 ‘깡통전세’ 사태의 도화선이 되었음에도, 현 정부가 수요 억제책으로 회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정부는 LTV 40% 일괄 적용 등 규제 중심의 부동산 정책으로 청년과 신혼부부의 내 집 마련 기회를 박탈하고, 임대사업자 대출을 사실상 막아 코리빙, 공유주거 등 민간임대 공급마저 위축시켜 청년층이 서울을 떠나는 악순환이 심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한 “정부는 공공임대 확대를 내세우지만, SH의 내년도 공급 계획은 올해보다 30% 감소하고, LH 공공임대 사업도 사업자 도산 등으로 차질을 빚고 있다”며 “임대 시장마저 불안정한데 정부가 거래와 대출만 묶는 것은 현실과 동떨어진 정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