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최대 화장품 수출국인 중국의 소비자 트랜드가 '미용효능식품'쪽으로 쏠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같은 소비성향의 변화는 중국이 이제는 '살만한 경제부국'으로 바뀌어졌다는 의미와 뜻이 통한다. 우리도 그런 전철(前轍)을 밟았기 때문에 나올 수 있는 해석이다.. 19일, 한국무역협회 상하이지부가 발간한 '중국미용식품시장 현황 및 시사점'에 따르면 중국에선 현재 피부기능개선, 노화예방 등의 효과를 지닌 미용식품시장이 빠르게 확장되 고 있다. 2016년 90억위안(한화 1조 6000억원)이던 관련시장 규모가 지난 해에는 164억위안(약 2조 8000억원)규모로 커졌고, 이런 추세라면 오는 2023년에는 238억위안( 4조 1000억원) 상 당의 시장으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품목별로는 미백, 노화방지, 보습, 탈모예방 기능식품 위주로 소비가 늘고 있다. 특히, 전체 미용식품 구매자 중 상당수(47%)가 미백 기능식품을 기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에서는 하얀피부색이 미인의 상징으로 인식되어 있기 때문이다. 주 소비층은 지우우허우(1995~1999년 출생)이며, 미백기능식품을 구매할 때는 비타민 C 성분이 포함됐는지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화방지 기능식품의 경우 빠링허우(1980년생)와 지우링허우(1990년생) 세대가 소비 주축을 이루고 있다. 이들은 식물성 화학물질 성분에 주로 관심이 높다. 보습기능 식품은 남녀노소 모두 인기가 좋고, 콜라겐 성분을 가장 중요시하고 있다. 탈모 예방 기능식품 시장은 아직까진 규모가 작은 편이지만 중국인 6명 중 1명 꼴로 탈모증상을 겪고 있는데다가 전체 탈모인 가운데 41,9%가 26~30세여서 젊은 연령층의 수요 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고 했으니 상하이에서 전해 온 최근의 중국시장에 대한 정보를 잘 활용한가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듯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