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의 인공지능(AI)기술 보급률은 세계 3위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대기업들의 선도에 따른 결과로써, 선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심한 격차는 서둘러 보완해야 할 과제로 지적됐다. 16일, 민간 싱크탱크 K정책 플랫폼이 경제협력기구(OECD)자료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지난해 국가별 AI기술보급률 순위에서 인도(1위)와 미국(2위)에 이어 3위에 이름을 올렸다. 해당 순위는 OECD가 2016~2020년 글로벌 인적자원(HR)서비스인 링크드인 데이터베이스(DB) 를 활용해 각국의 AI기술보급률과 모든 국가의 평균 AI기술보금률 간의 비율을 추정, 산출한 걀과이다. 2016년 4위로 출발한 한국의 순위는 2017년 6위, 2018년 7위로 연거푸 하락했으나 2019년에 다시 5위로 오르더니 지난해엔 두계단이나 뛰어오르면서 3위에 랭크된 것이다. 2년 새에, 이스라엘과 중국, 독일을 밀쳐냈다. 이같은 결과는 국내 IT대기업들의 선도로 아뤄졌다. 반면, 2018년 기준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의 빅데이터 분석 활용률은 10%에도 미달해 OECD최하위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ICT(정보통신기술)부문에선 기술 선도기업과 후행기업 간의 생산성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