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IT기업들의 인력 확보 트랜드가 공개채용방식에서 팀단위 또는 집단 공개채용형태로 빠르게 바뀌어가고 추세이다. 한 두 사람의 개별적 스카웃 방식 등이 지양되는 반면 ‘팀플레이’ 중심의 집단 수카웃양상까지 노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IT부문의 이러한 양상은 빠르게 진전하고 있는 글로벌 시장의 변화 속도 때문이다. 예전같이 신규 인력을 뽑아, 내 사람으로 키워 회사 발전에 기여케 할 시간적 여유가 없어진 까 닭이다. 눈 깜짝할 사이에 시장 판도가 급변할 수 있고, 시장 1위라는 개념의 의미가 크게 희석되고 있다는 상황이기 때문에 전문인력 확보를 서둘지 않을 수 없다는게 IT업계의 설명이 다. 이런 가운데, 삼성그룹의 핵심 전자 주력 기업들이 신규 채용에 나섰다. 공채 발표에 앞서, 이미 경쟁업체에선 이번 공개채용에 자사의 주요 IT인력들에 대한 사전 스카웃 교섭이 있었다는 의혹도 제기한 바 있다. 삼성전자를 비롯하여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삼성 SDS등이 2021년 상반기 3급(대졸)신입사원을 공개 채용한다고 공고했다. 채용규모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수천 명선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날, KT도 지난해 보다 약 20% 늘어난 300여명 을 신규 채용한다고 공표했다. 신입과 경력 직원이 대상이다. 그러면서 이번 수시 모집의 초점은 ‘ABC'(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인력의 우선채용임을 밝혔다. 주요 IT 대기업들은 공개적으로 연봉과 성과급 등을 노출 시키거나 은연 중 암시함으로써 고급*전문인력, 팀단위 조직의 마음을 흔들기도 한다. 주식 지분까지도 거론되기도 한다. AR(증강현상)* VR(가상현실) 부문과 에니메이션, 게임 분야에서도 치열한 인재 및 경력자 우대 경쟁이 뜨겁게 진행 중이다. 경기도 판교지역의 스마트 단지가 그 중심을 형성하고 있다. 그곳엘 가보면 바로 이런 곳이 '오늘의 한국 심장부'라는 걸 느끼게 될 것이다. 잚은 인재들의 요람이 바로 그론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