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韓流)바람 등에 편승하여 동남아를 비롯, 이웃 중국과 일본에서까지도 한국산 라면의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다는 소식과는 달리, 막상 우리 시장에서는 소비자들의 '라면사랑'이 예전만 못하다는 연구조사보고서가 나왔다. 18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기환 선임연구원이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자료를 토대로 종합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라면에 대한 한국인의 '라면선호도'는 2005년 이후 14년 만에 눈에 띄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박선임연구원은 2005년과 지난해를 기준점으로 가공식품지출품목 순위를 '소득구간별'로 분류해 분석했다. 2005년의 1분위(소득하위 20%)의 라면 지출비중은 전체 가공식품 중 우유, 과자, 말린고추, 빵에 이어 다섯번째 였다. 2분위(소득 20~40%)와 4분위(60~80%) 역시 5위였다. 하지만 소득순위가 딱 중간인 3분위(40~60%)는 한 단계 높은 선호도 4위가 라면이었다. 2019년에는 어떻게 변했을까? 한마디로 확 달라졌다. 가공식품지출상위 품목에 '라면'의 이름은 없다. 1,2분위의 경우 라면지출은 7위권으로 밀려 났다. 소득이 하위권임에도 라면을 덜 먹고 있다는 의미이다. 3,4분위는 8위였다. 2005년 전체 가공식품 지출비 중 라면 지출비중은 9위였는데, 지난해에는 11위로 더 떨어졌다. 지출 비중이 낮아졌다는 것은 먹기는 하되 '소량'으로 먹거나 아니면 기호식품으로 가끔 먹고 있다는 의미이다. '라면사랑'이 식어가고 있는 이유는 첫째, 라면을 대체할 가공식품, 간편식품들이 잇따라 등장하고 있다는 환경 변화이다. 먹거리가 다양하니 골라 먹을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다이어트 등, 건강문제 때문이다. 저염식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기도 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삶의 정도에 따라 기호식품의 선호도가 달라진다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다만, 한가지 아쉬움이 있다. 라면은 우리가 배곯던 그 옛날의 '보리고개'를 견딜수 있게 했던 '대체식량'이었다는 점이 그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