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수원시립미술관, 원본과 복제의 관계를 조명하는 2024 소장품 상설전《세컨드 임팩트》展 개최

수원시립미술관 소장품 주제 상설전

 

[아시아통신] 경기도 수원시립미술관은 2024 소장품 상설전《세컨드 임팩트》를 수원시립미술관 4전시실에서 2024년 4월 16일부터 2025년 3월 3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2부로 구성되어 9월 22일까지 1부가 10월 1일부터 일부 작품 교체 후 2부가 진행된다.

《세컨드 임팩트》는 ‘원본과 복제’라는 주제로 수원시립미술관의 소장품을 소개하는 전시다. 사진이 여러 논란을 거쳐 현재의 예술 장르로 자리 잡아 온 것처럼 앞으로 3D프린터와 생성형 AI로 제작된 예술작품 또한 복잡한 합의 과정을 필요로 한다. 전시는 이와 같은 원본과 복제가 서로의 가치를 높이고, 대체를 시도하고, 혹은 새로운 원본의 매개가 되는 복잡한 관계를 조명한다. 이와 함께 그 사이에서 촉발되는 예술의 본질과 가치에 관한 질문과 함께 다양한 관점으로 작품을 감상하고자 기획됐다.

전시장에는 소장품, 소장품의 복제품, 그리고 2차적 저작물이 공존한다. 전시의 시작에는 2차적 저작물과 법적으로 인정받는 원본과 복제의 개념 차이를 설명하며 이명호(b.1975-)의 '문화유산 #3-서장대'(2015) 사진 작품에서 수원 팔달산에 위치한 ‘서장대’라는 건축저작물을 원저작물로 활용한 작업을 소개한다.

이이남(b.1969-)의 '인왕제색도-사계'(2009)는 겸재 정선의 '인왕제색도' 작품을 활용한 2차적 저작물로 고유한 연출과 해석을 가미한 영상작품이다. 미술저작물 원본에서 시작해,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인왕산의 사계절을 연출하며 2차적 저작물로서 가져야 할 창조성을 보여준다.

다음 섹션은 일반적인 전시에서 관람객의 작품별 관람 시간이 평균 15초에서 30초 사이로 조사됐다는 2014년의 뉴욕타임스 보도에 기반해 구성됐다. (The New York Times, The Art of Slowing Down in a Museum, 2014) 관람객이 작품당 할애하는 15초라는 시간은 작품을 깊이 이해하기에는 너무 짧은 시간이다. 이 때문에 전시 공간은 사물의 형상과 단편적 인상이 곧 감상이 되는 관람 방식이 아닌 작품에 대한 보다 깊은 시선을 제공하기 위해 구성됐다.

홍순모(b.1949-) 작가의 높이 61㎝의 조각작품 '나의 죄악을 씻으시며'(1990)는 이번 전시를 위해 제작된 높이 약 230㎝의 인형 탈(에어수트)과 마주한다. 이러한 작품 배치는 부드러운 소재의 인형 탈에서 보이는 표면 외의 것들 이를테면 질감, 물성, 작가가 선택한 자세와 크기 등을 원본작품을 통해 파악하게 해주는 하나의 장치가 된다. 이 과정으로 원작품의 제목과 제작 의도를 읽으며 작품을 조금 더 깊이 바라보는 시간을 가져볼 수 있다.

김경태(b.1983-)의 사진 작품 '서북공심돈'(2019)은 같은 피사체를 촬영한 자료사진과 나란히 놓여있다. 관람객은 이 자료사진을 통해 작품이 서북공심돈의 어느 부분을 촬영했는지 볼 수 있고, 화면을 확대하며 작품과 같은 이미지를 얻어낼 수 있다. 두 사진의 대비는 어느 지점에서 사진이 예술과 자료로 구분되는지 관람객에게 질문한다.

유의정(1981-)의 도자기로 만든 '액체시대'(2014)는 작품과 크기 및 형태가 같은 3D 출력물과 3D 출력 과정을 담은 영상 데이터와 함께 전시된다. 이를 통해 3D 데이터(기능적 저작물)-3D 출력물(복제물)-원본작품(원저작물)으로 나뉘어 형성된 작품과 복제물의 삼각관계를 만나볼 수 있다. 관람객은 작품을 통해 원본과 복제본, 데이터 사이에서 발생하는 원본에 대한 정의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한편, 미술관 로비에는 실제 사람 크기의 조각작품인 배형경(b.1955-)의 '벽·인간 1', '벽·인간 3'(2023)이 전시된다. 관람객은 작품 사이에 설치된 구조물에 올라서서 직접 복제 작품이 되어 보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이렇듯 이번 《세컨드 임팩트》는 지속적으로 원본과 복제의 정의와 관계에 대해 관람객에게 질문하고 소장품은 이런 관계성을 고찰하는 매개 역할을 한다.

10월 1일부터 시작되는 2부에서는 한애규(b.1953-) 작가의 '지모신'(1993)과 안성석(b.1985-) 작가의 '역사적 현재 002','역사적 현재 004)(2010), 심영철(b.1957-) 작가의 '빗의 단계적 표상'(1983)이 전시된다.

수원시립미술관 관계자는“원본과 복제 간의 가치 관계 및 경계 그리고 원본에 대한 정의 등에 대한 질문은 메타버스와 가상화폐에 대한 논의로도 확장될 수 있다”라며 “이러한 주제를 수원시립미술관 소장품을 통해 깊이 있게 바라볼 수 있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기장군, ‘주민과의 대화, 찾아가는 현장민원실’ 추진…군민 소통의 장 열어
[아시아통신] 기장군은 11일부터 17일까지 정종복 기장군수가 군민과 직접 현장에서 소통하는 ‘2025년 하반기 주민과의 대화, 찾아가는 현장민원실’을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찾아가는 현장민원실’은 5개 읍·면 행정복지센터를 순회하며 주민들의 소중한 목소리를 현장에서 직접 듣고 군정에 반영하기 위해 마련됐다. 자유롭고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군수와 주민들이 지역 현안을 놓고 머리를 맞대며 즉문즉답 형식의 토론이 진행된다. 11일 첫 일정인 기장읍행정복지센터에서는 각계각층의 주민대표들이 참여해, 지역 현안에 대해 진솔한 대화가 이어졌다. ▲전통문화 시설을 이용한 관광 활성화 방안 ▲생활체육공원 건립 추진 상황 ▲죽도 관광개발 계획 ▲각종 주민 불편사항 등 다양한 주제가 논의되었으며, 정 군수는 주민들의 목소리에 성실히 답변하면서 해결책 마련에 힘썼다. 군은 이번 현장민원실을 통해 군민과의 소통을 더욱 강화하면서, 지역 현안에 대한 체감형 해결책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정종복 기장군수는 “군민 한 분 한 분의 목소리가 곧 기장의 미래를 만드는 힘이 된다”라며, “앞으로도 군민과 끊임

화성특례시의회, 2025 화성특례시 복지페스타 참석...포용적 복지정책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
[아시아통신] 화성특례시의회는 11일, 유앤아이센터 화성아트홀에서 열린‘2025년 화성특례시 복지페스타’에 참석해 관내 사회 복지 종사자 가족의 화합의 무대를 함께 축하했다. 이번 행사는 제26회 사회복지의 날(9월 7일)을 기념해 마련됐으며, 시민의 사회복지 이해 증진과 복지특례시 도약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 추진됐다 이날 행사에는 배정수 화성특례시의회 의장을 비롯해 김종복 문화복지위원장, 김상균·배현경·위영란·유재호 의원이 참석하고 화성시복지재단과 화성시사회복지협의회 소속 사회복지사와 시민 약 500명이 함께했다. 행사는 ▲개막 오페라 공연 ▲복지 발전 유공자 표창(총 59명: 시장 40명, 의장 10명, 국회의원 8명, 협의회장상 1명) ▲개그맨 김영희·정범균의 토크콘서트 ▲체험부스(인생네컷, 순발력 게임 등) ▲경품 이벤트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꾸며져 사회복지 종사자들에게 화합과 힐링의 시간을 제공했다. 배정수 의장은 축사를 통해 “제26회 사회복지의 날을 기념하는 뜻깊은 자리에서 사회복지 종사자와 함께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면서, “지역 복지 증진을 위해 헌신해 오신 사회복지 유공자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