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경제 인사이트] 中, 자동차 소비 진작 위해 다양한 우대 정책 펼쳐

지난 4월 26일 저장(浙江)성 진화(金華)시에 있는 중국 자동차 제조업체 립모터(Leapmotor) 작업장에서의 신에너지차(NEV). (사진/신화통신)

 

 

(중국 허페이=신화통신) 중국이 자동차 소비를 늘리기 위해 다양한 우대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 1일부터 오는 12월 31일 사이에 구매한 배기량 2L(리터) 이하 소형 엔진을 갖춘 30만 위안(약 5천781만원) 이하의 승용차에 대해 구매세를 절반으로 줄이기로 했다.

 

이와 같은 감세 정책은 시장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동차 매장이 잠재 고객으로부터 많은 문의를 받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중국 안후이(安徽)성 허페이(合肥)에 있는 한 자동차 대리점 관계자는 "지난 5월 약 80대의 자동차를 판매했다"며 "우대 정책 덕분에 이번 달에는 50대 더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천스화(陳士華)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 부비서장은 감세 정책으로 판매량을 200만 대 이상 늘리고 자동차 소비를 3천억 위안(58조440억원)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고 추정했다.

 

그는 "자동차 부품, 원자재 및 금융 보험 사업과 같은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산업까지 고려하면 감세 효과는 전체 산업에 5천억 위안(96조7천200억원)의 소비를 촉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

소비자들의 경우 자동차를 구매할 경우 구매세 인하는 물론 인센티브까지 받을 수 있다.

 

안후이(安徽)성 화이난(淮南)시는 승용차 구매를 촉진하기 위해 디지털 쿠폰 1만 장을 발급했다. 새차를 구입하는 소비자들은 화이난시에 차량을 등록하면 2천 위안(38만원)을 할인받을 수 있다.

 

더 많은 중국 지방정부가 이와 비슷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베이징은 올해 말까지 신에너지차(NEV)를 매매하는 사람들에게 최대 1만 위안(193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산둥(山東)성은 개인 자동차 구매에 대해 약 5억 위안(967억원) 상당의 소비쿠폰을 제공하는 등 자동차 산업의 경기 부양 조치를 발표했다.


CAAM에 따르면 중국의 5월 자동차 생산·판매는 193만 대, 186만 대로 전월 대비 각각 59.7%, 57.6% 증가해 감소세를 보였던 4월에서 반등에 성공했다.

 

CAAM은 코로나19 확산세가 점차 누그러지면서 중국 내 물류 차질이 해결됐다며 중국 자동차 산업도 곧 정상 운영에 들어갈 것이라고 전했다.

배너
배너


최호정 의장, 대학생 인턴과 소통 간담회 가져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 최호정 의장(국민의힘, 서초4)은 20일(수) 의회 본관 의장접견실에서 제7기 여름방학 대학생 인턴 11명과의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는 최 의장의 격려사, 대학생 인턴 학생들의 자기소개에 이어서울시의회와 지방의회의 발전 방안 등에 대한 인턴들의 질의와 최 의장의 답변이 이어졌다. 참석한 대학생 인턴들은 이번에 참여한 정책 연구과제 활동을 소개하며, 의정활동 참여에 대한 경험과 활동 소감 등을 공유했다. 또한, 인턴들은 “의정활동 현장을 직접 경험하며 의회가 하는 일을 이해하게 되었고, 학문적 지식이 실제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경험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최호정 의장은 “짧은 기간이지만 시민의 삶에 필요한 정책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경험한 것이 여러분 인생에 좋은 디딤돌이 되길 바란다”며 “서울시의회는 시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정책을 다루는 기관이므로, 앞으로 대학생 인턴들이 현장에서 제안한 아이디어와 의견이 실제 정책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제7기 대학생 인턴십은 서울특별시의회가 서울 소재 11개 대학과 연계해 운영하는 사업이다. 11개 대학: 경희대, 광운대, 국민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