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뉴스

전라남도의회 이혁제 도의원, “목포 초등입학생 급감, 중고교 연쇄붕괴 우려”

10년 후 목포 고교 4곳 문 닫을 수도

 

 

 아시아통신 최태문 기자 | 전남도의회 교육위원회 이혁제 의원(목포)은 21일 목포시 초등입학생 자료 분석을 통해 “2022년 목포시 초등학교 입학생 수가 10년 전인 2012년 2,490명 대비 17% 감소한 2,059명으로 431명이 감소했으며, 2025년엔 1,570명으로 급격히 감소해 중·고교 교육의 연쇄붕괴가 우려된다”며 “이에 따른 교육당국의 대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라남도 목포교육지원청의 ‘연도별 초등학생 입학생 현황’자료에 따르면 목포시 연도별 초등학교 입학생은 2020년 2,371명, 2021년 2,140명, 2022년도 2,059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했으며 전라남도교육청 2023년도∼2025년도 학생배치기준에 따르면 2023년 2,036명, 22024년 1,764명, 2025년엔 1,570명으로 급격히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자료에 따르면 목포시의 2020년도 초등학교 입학생은 2,371명에서 2025년 1,570명으로 801명(34%p) 감소할 것으로 예측 되어 시 단위 중에서 목포시 초등학생 입학생 수 감소가 가장 클 것으로 전망 했다.

 

 

목포시에 다음으로 여수시는 2020년 2,245명에서 2025년 1,709명으로 536명(23%p), 순천시는 2020년도 2,556명에서 2025년도에는 2,076명으로 480명(18%p), 나주시는 2020년도 1,431명에서 2025년도에는 1,322명으로 109명(7%p), 광양시는 2020년에는 980명에서 2025년도는 930명으로 50명(5%p)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 되었다.

 

 

특히 목포지역 초등학교 33교중 목포S초는 올 해 신입생이 한 명도 없었고 내년에도 1명뿐인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올 해 입학생이 10명 이하인 학교는 총 5교로 나타났다.(목포S초 0명, 목포BG초 9명, 목포Y초 10명, 목포L초 9명, 목포I초 9명)

 

 

또한 올 해 입학생 수 100명이 넘은 학교는 총 7곳뿐이고 용해지구 목포BR초가 17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모두 아파트 밀집 지역 인근 학교로 나타났다.

 

 

이혁제 의원은 “올 해 목포시내 고교 15곳의 입학정원은 2,354명이다. 이렇게 가다간 10년 후가 되면 입학생 부족으로 목포 고교 4곳의 신입생 0명 시대가 도래 할 수도 있다”며 “더욱이 목포는 출생률 저하와 남악신도시 개발로 학생 수가 급격히 감소할 수밖에 없는 구조로 이럴 때 일수록 교육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더 확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교육이 살면 지역 경제도 살 수 있다, 이제는 교육경제를 통해 인구유입과 지역경제를 살리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한다”며 교육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이 의원은 “적정 학생 수가 보장되어야 제대로 된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양질의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며 “고교를 유지하기 위해 학급 수만 줄인다면 내신등급 불이익을 우려한 과도한 경쟁으로 학교교육은 황폐화 되고 사교육 의존도는 더욱 커질 것이다.” 며 교육당국의 선제적 대책을 강조했다.
배너
배너


김영옥 보건복지위원장, 『지역아동센터 중학생 위한‘서울런’지원』추진 적극 환영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영옥 위원장(국민의힘, 광진3)은 서울시가 오는 7월부터 지역아동센터 중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서울런’ 시범사업과 향후 사업 확대 계획에 대해 “교육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매우 의미 있는 정책”이라며 적극 환영의 뜻을 밝혔다. ‘서울런’은 취약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강의와 1대1 멘토링을 무료로 제공하는 서울시의 대표 교육복지 사업이다. 특히 이번 시범사업은 아동복지시설인 지역아동센터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간 멘토링과 학습 콘텐츠 개방, 전용 ID를 활용한 학습관리 기능 강화 등을 포함하고 있어 현장의 실질적 수요에 부응하는 조치로 평가받고 있다. 김영옥 위원장은 “교육에서 출발선의 차이는 곧 삶의 격차로 이어진다”라며, “서울런 대상 아동임에도 실제 이용률이 낮았던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이번 시범사업이 추진되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며, 실제 교육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김 위원장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농협의 민간 후원이 더해진 이번 사업은 민관 협력의 우수 사례로, 서울시 복지 정책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며, “시범사업 이후 전면적인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