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뉴스

김해시, 콘텐츠 강화 내년 국제슬로시티 재인증

최초 도시형 슬로시티 문화 확산 추진

 

 

 아시아통신 김성연 기자 | 김해시는 2023년 국제슬로시티 재인증을 앞두고 슬로시티 도시브랜드 가치 향상을 위해 콘텐츠를 강화한다고 4일 밝혔다.

 

 

지난 2018년 6월 국제슬로시티연맹으로부터 최초의 도시형 슬로시티로 지정받아 올해 지정 4년차를 맞은 김해시에 있어 슬로시티라는 도시브랜드는 역점사업인 국제기구 도시인증 프로젝트의 첫 결과물이기도 해 의미가 남다르다.

 

 

김해시는 지역공동체를 중심으로 역사문화유산과 자연환경 보전정책을 펼치는 가운데 경제를 활성화하는 지속가능한 성장성을 인정받아 도시형 슬로시티로 지정됐고 이러한 슬로철학이 도시 전반과 시민 삶 속에 녹아들 수 있도록 애쓰고 있다.

 

 

김해시는 대표적인 도시형 슬로시티로 자리매김하려면 시민 이해도를 높이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올해는 찾아가는 슬로학교를 읍면동뿐만 아니라 학교, 사회적공동체, 기업체 등으로 확대 운영한다.

 

 

이와 함께 슬로시티 김해 명소 여행 후 온라인 인증 이벤트, 슬로라이프 체험수기 공모전, 슬로시티 김해 생태·역사 체험 걷기 행사, 슬로프렌즈 기업과 슬로시티 특산품 지정 확대 등으로 일상에서 시민들이 슬로시티를 좀 더 가까이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아울러 2023년 재인증을 위해 제2기 슬로시티 김해 5개년 계획이 담긴 마스터프랜을 수립하고 추진보고회를 개최해 72개 평가항목별 추진실적과 재인증 계획을 공유하며 관련부서 직원들에게 재인증 세부평가항목과 평가보고서 작성요령 등을 교육한다.

 

 

특히 슬로시티와 상승효과가 기대되는 가야역사문화 환경정비사업과 법정문화도시, 마을만들기, 박물관도시 사업 등 시정 전반에 슬로시티 철학이 담길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한다.

 

 

생태하천복원, 도시숲가꾸기, 화포천습지보전 등 생태환경조성을 비롯해 가야사복원과 숭선전제례, 분청도자기, 남명조식, 김해오광대 등의 역사문화 전승·보전, 주민주도형 마을공동체와 지역특산물 활성화를 통한 지역경제 여건 개선, 문화인프라와 쾌적한 도시기반 조성 같은 김해시의 다양한 정책에서 슬로의 철학과 이념을 엿볼 수 있다.

 

 

슬로시티 인증 이후 김해시는 창의적인 슬로시티 성장을 위해 진영봉하마을, 대동수안마을, 상동대감마을 등을 거점마을로 지정했고 장군차와 진례생강발효액을 한국슬로시티 공동브랜드 상품으로 지정해 지역특산품의 우수성을 홍보 중이다.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슬로시티를 체험할 수 있도록 대청천 슬로걷기대회, 율하천 다슬기 방류사업, 화포천습지 반딧불이축제, 슬로시티 UCC 및 사진 공모전, 1일1슬로라이프 이벤트, 함께 떠나는 슬로시티 김해 등 다양한 행사들을 개최했고 웹드라마 ‘느려도 괜찮아’ 제작 시민 홍보, 우리나라 최초 김해 슬로프렌즈 기업 지정으로 기업체에 슬로철학을 전파 중이다.

 

 

시 관계자는 “슬로시민강사를 활용한 슬로학교 운영으로 시민들의 슬로시티 이해를 확대해 도시형 슬로시티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며 “슬로시티는 지역민들의 자발적 참여가 제일 중요한 시민운동인 만큼 슬로시티 문화 확산과 일상 속 슬로라이프 실천을 위해 지속적으로 시민교육과 홍보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최호정 의장,“예산 우선 순위 겉모습보다는‘기본에 충실한 서울’이 돼야”
[아시아통신]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은 최근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지반침하의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는 노후 상․하수도관 교체에 속도를 내기 위해 향후 5년간 정비 예산 1조 5천억 원을 추가 투자할 수 있도록 재원 마련에 나선다. 최호정 의장은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 지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개정 조례안 2건을 발의, 지반침하로부터 시민 안전을 지키겠다고 밝혔다. 최 의장은 “한정된 예산에 우선순위를 정해야 한다면 공공 기본 인프라 정비가 가장 먼저일 것”이라며, “기본이 바로 서지 않았는데 겉만 화려하게 치장하는 것은 모래 위에 쌓은 성에 불과하다. 겉모습보다는 ‘기본에 충실한 서울’이 돼야 한다. 미래세대 부담이 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노후 시설을 제때 정비해야 한다”라고 조례 개정에 나선 이유를 밝혔다. 이번에 개정 발의한 조례는「서울특별시 수도사업 설치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서울특별시 재난관리기금의 설치 및 운용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다. 상수도의 경우 2040년까지 장기사용 상수도관 약 2,800km 정비(교체)를 계획하고 있으나,‘중기지방재정계획(’25~’29년)’에는 예산 부족 등의 사유로 목표 대비 약 55% 수준의 정비물량을 반영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