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9 (목)

  • 구름많음속초23.2℃
  • 구름많음17.5℃
  • 구름많음철원17.7℃
  • 맑음동두천19.1℃
  • 맑음파주18.3℃
  • 맑음대관령16.2℃
  • 구름많음춘천18.9℃
  • 맑음백령도16.9℃
  • 맑음북강릉22.9℃
  • 구름조금강릉23.6℃
  • 맑음동해20.1℃
  • 맑음서울18.5℃
  • 맑음인천16.7℃
  • 맑음원주17.9℃
  • 맑음울릉도16.4℃
  • 맑음수원18.2℃
  • 맑음영월17.0℃
  • 맑음충주18.6℃
  • 맑음서산17.8℃
  • 맑음울진17.2℃
  • 맑음청주19.0℃
  • 맑음대전19.0℃
  • 맑음추풍령18.1℃
  • 맑음안동17.6℃
  • 맑음상주20.0℃
  • 맑음포항20.0℃
  • 맑음군산19.0℃
  • 맑음대구19.5℃
  • 맑음전주20.0℃
  • 맑음울산19.0℃
  • 맑음창원19.8℃
  • 맑음광주19.3℃
  • 맑음부산17.9℃
  • 맑음통영18.7℃
  • 맑음목포17.5℃
  • 맑음여수17.6℃
  • 맑음흑산도17.5℃
  • 맑음완도21.4℃
  • 맑음고창19.2℃
  • 맑음순천19.1℃
  • 맑음홍성(예)19.3℃
  • 맑음17.5℃
  • 맑음제주19.0℃
  • 맑음고산17.2℃
  • 맑음성산20.4℃
  • 맑음서귀포19.1℃
  • 맑음진주19.6℃
  • 맑음강화17.4℃
  • 구름많음양평16.9℃
  • 맑음이천19.2℃
  • 구름많음인제18.1℃
  • 구름조금홍천18.3℃
  • 맑음태백17.1℃
  • 구름많음정선군19.9℃
  • 맑음제천17.8℃
  • 맑음보은18.4℃
  • 맑음천안19.0℃
  • 맑음보령18.3℃
  • 맑음부여18.8℃
  • 맑음금산18.9℃
  • 맑음19.1℃
  • 맑음부안19.6℃
  • 맑음임실18.8℃
  • 맑음정읍20.2℃
  • 맑음남원18.8℃
  • 맑음장수18.8℃
  • 맑음고창군19.9℃
  • 맑음영광군19.6℃
  • 맑음김해시20.2℃
  • 맑음순창군18.9℃
  • 맑음북창원21.1℃
  • 맑음양산시19.4℃
  • 맑음보성군21.6℃
  • 맑음강진군21.3℃
  • 맑음장흥20.9℃
  • 맑음해남20.1℃
  • 맑음고흥19.8℃
  • 맑음의령군19.7℃
  • 맑음함양군21.4℃
  • 맑음광양시19.4℃
  • 맑음진도군19.1℃
  • 맑음봉화18.5℃
  • 맑음영주18.5℃
  • 맑음문경19.1℃
  • 맑음청송군18.8℃
  • 맑음영덕20.9℃
  • 맑음의성19.0℃
  • 맑음구미20.9℃
  • 맑음영천19.2℃
  • 맑음경주시20.3℃
  • 맑음거창19.4℃
  • 맑음합천19.8℃
  • 맑음밀양19.4℃
  • 맑음산청20.3℃
  • 맑음거제19.2℃
  • 맑음남해19.0℃
  • 맑음19.9℃
기상청 제공
아시아통신 로고
[한중교류] 공동 항일 전쟁을 기억하는 中인민항일전쟁기념관과 韓독립기념관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한중교류] 공동 항일 전쟁을 기억하는 中인민항일전쟁기념관과 韓독립기념관

1945년 8월 15일, 패전한 일본은 항복을 선언했다. 그후 한국에서는 매년 8월 15일을 '광복절'로 기념하고 있다.

20세기 초, 당시 조선은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했다. 이에 많은 조선인 독립운동가들은 중국으로 망명함과 동시에 수많은 항일단체를 설립해 중국군과 함께 일본 침략자들에 맞서 싸웠다. 그 결과 반파시스트 전쟁에서 위대한 승리를 거둔 중·한 양국 국민이 함께 항전하며 맺은 두터운 우정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중국 베이징 루거우차오(盧溝橋)에 있는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항전관)과 한국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한국 독립기념관은 양국의 유명한 제2차 세계대전 박물관으로 수년간 항전 연구에 있어 교류와 협력을 꾸준히 강화해 왔다.

천안시에 있는 독립기념관에는 '나라 되찾기'라는 이름의 제5전시관이 있다. 이곳에는 100여 명의 장교와 병사들이 늠름한 자세로 서서 한글로 적힌 '조선의용대' 깃발을 들고 있는 사진이 있다. 이 사진은 1938년 후베이성 우한에서 결성된 조선의용대의 모습이다.

한시준 독립기념관 관장은 한·중 양국이 일제 침략을 받자 양국 국민은 저항하기 시작했고 비슷한 역사적 맥락에서 당시 조선인 독립운동가들이 중국에서 활동하면서 중국 항일단체와 많은 혁명가의 지지와 도움을 받았다고 전했다.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상하이에서 수립되자 조선인 독립운동가와 중국 혁명가는 더욱 긴밀한 관계를 맺고 우의를 다졌다.

한시준 한국 독립기념관 관장이 지난 6월 12일 신화통신과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신화통신)

독립기념관 내 7개 전시관 중 제5전시관인 '나라 되찾기'와 제6전시관인 '새로운 나라'에는 중국에서 활동한 조선인 독립운동가들의 이야기를 담은 전시물이 적지 않다.

"한·중 양국은 침략의 고난을 겪었지만, 두 나라 국민은 서로를 도와 함께 싸웠고, 결국 승리를 거뒀습니다. 함께 항전하던 그 역사의 세월은 우리 양국에 고난을 함께 이겨낼 수 있다는 소중한 가치를 남겨 줬습니다." 한 관장의 말이다.

중국항일전쟁기념관에는 '독립운동지원' 특별 전시관이 설치돼 있다. 이곳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 이전 활동, 동북항일연합군에 참가한 항일 애국선열들, 애국지사 윤봉길의 일본육군대장 시라카와 요시노리(白川義則) 암살, 조선의용대와 한국 광복군의 창설과 훈련 등에 관한 내용을 전시하고 있다.

중국항일전쟁기념관에 마련된 '독립운동지원' 특별 전시관. (영상 캡처)

뤄춘캉(羅存康)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 관장은 "파시스트에 맞서 함께 싸운 이 역사는 중·한 양국 간 깊은 우의를 증명하고 이 역사를 전시회에 담아 함께 기억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공교롭게도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과 한국 독립기념관은 모두 1987년 설립됐다. 두 기념관은 1982년 일본의 교과서 왜곡 사건을 계기로 설립됐다는 공통점도 갖고 있다. 양국은 일본의 침략과 만행을 폭로하고 민족 내부의 단결을 강조하며 용맹한 항일을 전개하는 등 역사적 경험에 많은 공통점을 갖고 있다.

1982년, 일본이 공공연히 침략을 미화하고 사실을 왜곡하는 역사교과서를 발행해 대한민국에 큰 파문을 일으켰고, 이를 항의하는 시위집회가 열렸다. 한국 국내 여론은 일제의 한국 침략에 대한 역사적 진실, 한국이 일본 침략자들에 맞서 싸운 독립운동의 역사를 국민에게 더 많이 알릴 필요성을 인식했다.

지금도 일본 정부는 전쟁 책임을 진지하게 반성하지 않고 있으며 일본군이 저지른 끔찍한 범죄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하지 않고 있다.

역사를 직시하고 깊이 반성하는 것은 전후 일본이 아시아의 이웃 국가들과 정상적인 관계를 회복하는 데 필요한 전제 조건이다.

일본이 사실을 은폐하고 책임을 회피하는 것으론 죄를 세탁할 수 없다. 죄를 인정하지 않고 뉘우치지 않으면 미래로 나아갈 수 없다.

"한국과 중국뿐 아니라 일본의 침략을 받은 다른 아시아 국가 모두 단결해야 하며, 공동항전의 역사적 경험을 연구하고 기억하며 일본의 사죄와 반성을 요구하는 데 한 목소리를 낼 필요가 있습니다." 한 관장의 말이다.

한국 독립기념관은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 난징(南京)의 중국 침략 일본군 난징대학살 희생동포기념관, 선양 '9·18' 역사박물관 등과 긴밀히 교류하고 있으며, 난카이(南開)대학·푸단(復旦)대학·옌볜(延邊)대학 등 대학의 학자들과 항일전쟁 관련 자료를 교환하고 학술회의를 공동 개최하고 있다.

지난 11일 뤄춘캉(羅存康)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 관장이 신화통신과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신화통신)

뤄 관장은 "일본의 아시아 침략 역사는 현대 문명사의 어두운 한 장"이라며 "이 부분은 지워지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새 시대에는 중·한 양국이 함께 행사를 개최해 평화교육 등 활동에 대한 연계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 "면서 "예컨데 애국주의 교육 방면에서 청소년들이 역사를 더 잘 기억할 수 있도록 서로 배우고 교류하며 토론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중국항일전쟁기념관이 앞으로 독립기념관과 함께 문화 사료의 보호와 공유, 관리 활용에서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히며 중·한 공동항전 역사의 사료발굴, 학술과제 연구, 한국 독립운동 유적지와 중국 항전유적지 답사 및 교육 연학, 전시 활동 등도 펼쳐 나가겠다고 전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