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통신] 통영시는 지난 12일 통영 RCE 세자트라숲에서 ‘2025 통영시 인구포럼 섬은 영토의 시작’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섬 지역의 소멸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하는 중요한 자리로, 섬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략을 도출하는 데 집중했다.
이날 포럼은 섬 지역 소멸 문제를 다루는 전문가 발제와 섬 주민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담은 발표가 포함된 두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됐다.
첫 번째 발제에서는 김재호 한국섬진흥원 팀장이 ‘대한민국 유인섬의 현황’을 주제로, 유인섬의 지역소멸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서 박두현 한국소멸도시연구소 소장이 섬의 인구정책 사례를 소개하며, 섬의 인구 유입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강조됐다.
마지막으로 박재완 문화도시재생연구소 대표가 통영 유인섬의 현황과 미래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실제 섬 주민들이 발표에 나섰다.
사량면 하정삼, 욕지면 김종대 주민이 각자의 섬 생활과 변화를 소개하며, 김정남 섬 교육활동가는 섬 주민들을 위한 교육 활동에 대해 발표했다.
또한 참석자들은 4개의 팀으로 나눠 ‘섬 인구 유입을 위한 행정적 지원방안’, ‘청년층과 섬의 연계를 위한 콘텐츠 개발’, ‘섬의 인프라 구축방안’, ‘섬 경제발전을 위한 상생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각 팀의 발표를 통해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도출했다.
참석자들은 포럼 후 소감 발표를 통해 “섬 지역 소멸 문제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를 인식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앞으로 통영과 섬 지역을 위한 정책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참여할 의지가 생겼다”고 전했다.
허대양 부시장은 “이번 포럼을 통해 섬 지역의 소멸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나누는 자리가 됐다”며 “앞으로도 섬 지역 인구 유입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