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회의에는 문금주 전남도 행정부지사와 서국현 전남대 교수, 손영호 반석엘티씨 대표, 박서홍 농협 전남지역본부장, 박상현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전남도사무국장, 김양길 대한양계협회 전남도지회장, 전영옥 한국오리협회 전남도지회장, 문순금 ㈜다솔 대표, 이창주 ㈜사조원 대표, 김선철 ㈜정다운 대표가 참석했다.
또한 전남도와 22개 시군의 영상회의실을 온라인으로 연결해 부단체장과 전담공무원, 가금농가 등 200여 명이 함께해 도 추진상황과 전문가 의견, 시군의 방역상황을 공유했다.
전남도는 2022년 2월 말까지 시행하는 고병원성 AI 특별방역대책 추진상황을 설명하고 지난해와 달라진 대책을 소개했다.
올 겨울철 도가 추진하는 특별방역대책은 20종이다. 주요 대책은 ▲철새도래지 20개소 통제지점 27곳 지정 및 매일 소독․출입통제 ▲모든 가금 정밀검사 추진 ▲종오리, 산란계 밀집단지, 위험농가에 농장통제초소 39개소 설치 ▲가금농가 전담공무원 운영 ▲오리 사육 제한 등이다.
지난해와 달라진 점은 ▲철새가 농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철새도래지 직접 소독을 지양하고 인근 도로와 농장 진입로 위주 소독 ▲도 자체적으로 농장 방역의 핵심시설인 소독시설 보강(300호 45억 원) ▲발생시 살처분 범위를 기존 발생농장 반경 3km 내 전 축종이었던 것을, 500m 내 전 축종을 원칙으로 하되 2주마다 위험도 평가 후 조정 등이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교수, 방역전문가, 생산자단체 등 관계자는 “가장 좋은 방역대책은 방역시설 정상 운영과 기본방역수칙 준수, 휴지기제 참여에서 시작한다”며 “민관이 협력해 올 겨울에는 반드시 AI를 막아내자”고 한 목소리를 냈다.
문 부지사는 “지난 겨울철 발생은 과거 2년 동안 비발생에 따른 민관의 느슨해진 방역의식과 방역시설 개선 소홀이 원인”이라며 “민관이 협력해 올 겨울에는 반드시 AI 청정전남 이미지를 회복하자”고 강조했다.
이어 “환경부 조사를 보면 지난달 경기․충청권에서 상당수 철새가 관찰되고 야생조류 분변에서 H5형 AI가 검출되고 있어 매우 위중한 상황”이라며 “도내 농장 문 앞까지 바이러스가 왔다는 위기감을 갖고 차단방역에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전남동물위생시험소도 특별방역대책 기간 정기적인 정밀검사와 도축 출하전 검사 실시 등 예찰을 강화한다.
육용오리 농장은 입식 전부터 출하까지 3단계로 검사하고, 종오리 등 취약 축종은 매월 1회 검사한다. 또 가금 도축장 검사량을 확대하고, 산란계 밀집단지 및 소독시설을 주 1회 검사하는 등 AI 발생 위험시기 집중 예찰검사를 강화해 발생 위험요인을 사전 차단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