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원전 논란속에서, 한빛 '원전사고'......고창군 !

  • 등록 2025.07.16 15:00:10
크게보기

-고창군민, 다시 불안-

[아시아통신] 

<바다 멀리 한빛 원전이 보이고 있다.>

 

 

전북 고창군 주민들이 최근 한빛원전 2호기에서 발생한 황산 누출 사고로 인해 크게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 사고 개요

  • 발생일시: 2025년 6월 14일 오후 5시 40분

  • 사고 내용: 한빛 2호기에서 황산 191리터 유출

  • 원인: ‘황산 주입펌프 연결볼트 손상’—노후화로 인한 기기 결함 의심.



-운전 시작: 1987년 6월

  • 설계 수명 만료 예정: 2026년 9월

  • 한수원은 2023년부터 수명 연장을 위한 행정절차를 진행 중이며, 이에 대해 주민 공청회 연기와 갈등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고창군 주민 및 지자체의 우려

  1. 안전 불안 증대

    • 고창군 전체가 반경 30 ㎞ 방사선비상계획구역에 포함돼 있으며, 풍향·해류 특성상 방사선 및 온배수 위험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재정 지원 격차

    • 한빛원전은 고창군이 아닌 영광군에 위치해 ‘지역자원시설세’를 받을 수 없음.

    • 사고 위험은 공유하지만 보상·지원은 제외되는 구조에 주민들의 박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3. 수명 연장 반대 목소리

    • 2024년 고창·영광 농민회를 중심으로 한빛 1·2호기 연장 운전 반대 및 폐쇄 촉구 기자회견이 있었습니다. 

- 추진 중인 대책 및 향후 전망

  • 사고를 계기로 고창군은 안전관리 강화, 인근 지역 포괄 지원, 제도 개선을 적극 요구 중입니다. 

  • 한수원은 기존의 안전 불감증 문제를 인식하고 CCTV 설치, 교육 강화, 절차 개선 등 재발방지 조치를 마련하고 있습니다(한빛 1호기 기준) 

정리

항목 내용
사고 한빛 2호기 황산 191L 누출 (2025.6.14)
원인 노후 설비의 연결볼트 손상
지역 영향 고창군 주민 불안 → 지원 및 안전 강화 요구
배경 설계 수명 임박(2026.9) + 수명 연장 갈등
조치 흐름 기관 → 수명 연장 절차 진행 / 지자체·주민 → 반대 및 안전 대책 요구


- 대책방안

  • 고창군 차원

    • 주민 안전성 평가, 비상 대응 훈련 강화

    • ‘방사선비상계획구역’ 내 재정지원 요청 및 주민 피해 보상 방안 모색

  • 정부·한수원 차원

    • 노후 원전 수명 연장 여부 재검토

    • 인근 주민을 위한 교육·피해보상 제도 마련

    • 노후 기자재 정밀 점검 및 교체 추진

최용운 기자 choiyu2495@hanmail.net
Copyright @아시아통신 Corp. All rights reserved.


아시아통신 (newsasia.kr) | 주소 : (전)서울시 동대문구 용두동 104-20 4층 | 경기도 남양주시 청학로 124 | newsasia@naver.com | FAX : 0504-009-3816 | 전화 : 02)953-3816 발행일자 : 2007.02.01 | 사업자등록번호 : 132-81-69697 | 등록번호: 문화 나 00034 | 이사 : 윤헌수 |총괄 부회장 박철희 |고문 심경섭 경제학과 교수| © Copyright 2007 NEWSASIA All Right Reserved.